logo

어머니의 김치맛

2017.04.15 11:35

목향 Views:390

어머니의 김치 맛 / 정목일 

 

 

 

김치 맛을 내는 여러 조건 중에서 젓갈 맛을 뺄 수 없다. 김치를 담그기 위해선 상

(上品)의 양념과 배추. 무를 준비해야 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젓갈을 잘 담궈 두어

야 한다.

나는 어머니의 마음과 삶이 젓갈이라고 생각될 때가 있다. 멸치나 새우가 젓갈이 되

기 위해선 뼈와 살이 푹 삭아서 흐물흐물해져야 한다. 자신의 육신과 마음을 온통 다

내어 주어야 입안에 가득 고이는 젓갈 맛이 될 수 있다. 소금에 절여서 뼈와 살이 녹

, 사라지지 않을 정도로 썩어 발효돼야 한다. 자신을 버려야 참맛을 내는 것이다.

어머니의 일생이 그러하지 않은가. 가족들을 먹이고 입히며 위하는 일이라면, 자신의

버리는 것을 오히려 행복으로 알아오지 않았는가.

간장. 된장. 고추장. 젓갈은 발효식품이다. 잘 삭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오랜 세월

과 정성이 필요하고, 여기에다 알맞은 기후가 보태어져야 한다. 무엇보다 정성과 사랑

이 깃들어야 발효가 잘 될 수가 있다.

 

어머니가 담근 김장 김치엔 민족 고유의 맛이 흥건히 고여 있다. 한국의 흙과 기후

와 채소들이 만들어 낸 맛과 어머니의 손맛이 보태어진 진미이다. 삼동(三冬)의 추위

를 견디고, 새봄을 맞기까지 식욕을 돋궈주는 김장김치 맛 속엔 한국 가을의 풍요와

맑음이 깃들어 있고, 겨울의 추위와 지혜가 담겨 있다.

김치를 먹을 때의 서걱서걱 내는 소리 속에 젓갈 맛이 우러나와 오묘한 맛을 낸다.

서양의 셀러드는 썬 야채 위에 소스나 마요네즈를 뿌려 먹는 지극히 단순한 음식이지

, 우리 김장김치는 배추. 무를 오랫동안 소금에 절여 두었다가, 고추. 생강. .

등을 섞은 양념에 청각, 굴 등과 젓갈을 넣어 맛을 낸 것이다. 채소의 절임과 발효로

빚어내는 맛의 오케스트라라고나 할까. 지휘자는 말할 것도 없이 손으로 양념을 슬슬

흩어가며 김장을 하는 어머니다.

 

김장김치는 맵싸하고 짭조롬한 가운데, 화끈한 맛이 있다. 우리 김치 말고는 어느 음

식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맛이다. 김치 맛은 팔도(八道) 팔색(八色)이다. 지방

마다 다르고 집집마다 다르다. 김치 맛 속에는 기후와 지형과 사람들의 성격이 드러

난다. 국에 넣으면 시원한 김칫국이 되고, 된장과 함께 넣어 끊이면 구수한 김치찌개

가 된다. 한국의 어떤 음식과도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맛의 샘이라고나 할까.

 

우리 어머니가 자식을 키우시던 때는 궁핍한 시대였다. 마음껏 자식들을 배불리 먹일

수도 없었고, 변변한 반찬을 해줄 수도 없었다. 남새를 양념과 젓갈을 넣어 손으로

버무려서 손맛을 내어놓았을 뿐이었다. 그러나 온 식구들이 식탁에 앉으면 웃음이 감

돌고 먹음직스러웠다. 어느 음식이나 입에 맞지 않은 것이 없었다. 김이 모락모락 나

고 금새 무치고 끓인 음식들에선 어머니의 사랑이 배여 있었다. 어머니는 가족들의

식사하는 모습을 바라보는 것만으로 흐뭇한 미소를 띠시고 자신은 누룽지나 식은 밥

도 마다하지 않으셨다.

 

어머니를 다시 뵐 수 없게 되자, 알싸하고 입안에 침이 가득 고이는 김치 맛이 새삼

그리워진다. 자신을 소금에 절이고 뼈와 살을 녹여서 가족들을 위해 진국 맛, 젓갈

맛을 낸 분이 어머니이셨다. 자신을 소리 없이 발효시킨 삶으로 가정에 건강과 웃음

을 피워내셨다. , 어떤 업적이나 남에게 내세울 일이 없더라도, 어머니의 일생은 거

룩하고 훌륭하셨다.

 

나는 가끔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자신의 뼈와 살을 녹여 발효시켜서 기막힌 묘미

를 내는 사람이 될 수 없을까를 생각해 본다. 그것은 아름다운 헌신이고, 깨달음의

경지이며, 사랑의 실천이 아닐 수 없다. 사랑은 입안에 녹아 사라지는 사탕 맛이 아

니고, 뼛속에 남아 있어서 입맛을 되살려 주는 젓갈 맛이 아닌가 한다.

 

식사 자리에 어느새 어머니가 계시지 않은 것처럼 김치 맛도 사라져 가고 있다. 어디

가서 입안에 짜릿하게 남아 있는 그 감칠맛을 느낄 수 있을까. 한국의 자연과 어머니

의 사랑이 녹아 발효가 된 우리 고유의 참맛을 어떻게 되살려 놓을 순 없을까. 아이

들은 차츰 김치냄새를 싫어하고 서양음식에 길들여져 가고 있다.

어머니의 김치 맛이 점점 사라져가는 것은 생각하기조차 끔찍한 일이지만,

 알게 모르게 민족 고유의 문화가 자취를 감추고 있다는 걸 말해 준다.

 

나라를 잃고 말, , 이름조차 빼앗겼던 때가 있었지만 간장, 된장, 고추장, 김치 등

음식 문화만은 뼈 속에 녹아 있어서 어쩔 도리가 없었다. 우리 문화와 기질을 지켜

낸 게 음식 문화였다. 가족들의 식사시간이 즐거워야 행복한 가정이라고 생각한다.

아가신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식탁이 텅 빈 것처럼 맛의 공백과 허전함을 느낀다.

어머니의 김치 맛과 사랑의 손맛이 그립기만 하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435 빛의 속도로--- 유익한 기사 귀담 2018.01.17 689
434 정과정의 서보 [1] 귀담 2017.12.28 370
433 부처는 왜 절벽에 서 있는가 목향 2017.12.01 1180
432 시간에 대한 사색 [6] 귀담 2017.10.22 1050
431 가시덤불새 [1] 귀담 2017.10.17 243
430 정원 庭園 [1] 귀담 2017.10.12 262
429 마음 인사 [2] 목향 2017.10.08 337
428 얼굴무늬수막새- 신라인의 얼굴 [1] file 목향 2017.09.10 877
427 알리스카 여행기 file 귀담 2017.08.24 1568
426 배롱꽃과 자귀꽃 목향 2017.07.23 291
425 蘇軾--前赤壁賦 file 귀담 2017.07.16 972
424 망여산폭포 - 이백 [2] file 귀담 2017.06.27 471
423 홀로 마시다 취하다 귀담 2017.06.27 1473
422 사군자 -- 매화 file 귀담 2017.06.16 386
421 붓으로 참새 그리기 file 귀담 2017.06.13 2158
420 慈烏夜啼 -- 白樂天 file 귀담 2017.06.04 904
419 알파고와 커제 바둑대결 [2] 귀담 2017.05.25 617
418 四君子 -- 대나무 그리기 연습 [1] [1] file 귀담 2017.05.15 5994
417 진인사대천명 [2] file 귀담 2017.05.12 4316
416 귀엣말 [1] 목향 2017.05.06 275
» 어머니의 김치맛 [1] 목향 2017.04.15 390
414 하루살이의 죽음 [1] 목향 2017.04.01 283
413 蘇軾의 卜桑子 file 귀담 2017.03.29 373
412 採桑子 [1]--- 歐 陽 修 file 귀담 2017.03.20 378
411 客至 -- 杜甫 [두보의 객지] file 귀담 2017.03.15 899
410 반가운 소식 -- 杜甫 詩를 쓰다 [1] file 귀담 2017.03.14 457
409 명시 임서 -- 蜀相과 楓橋夜泊 [1] file 귀담 2017.03.06 961
408 3월의 말 목향 2017.02.27 293
407 문인의 길 [1] 목향 2017.02.19 428
406 장자 이야기 귀담 2017.01.31 1672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