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6.01 13:56
현담 조수현선생 서예 전각전
대가의 서예는 필법을 뛰어 넘어 藝와 技의 경지에 이르는가.
2011년 나는 현담 조수현 교수의 서예전을 관람하기 위하여
뉴욕업스테이트 <원다마르센타>까지 장장 6시간을 운전하며
관람하고 왔었다. 물론 본인도 만나 인사도 드릴 겸 달려 갔으나
내가 도착한 시간에는 여행을 떠나 직접 대면할 기회를 놓쳤다.
전시된 많은 서예 전각 작품 중에 2점을 올려 본다.
<현담 조수현교수 >
현담은 서예계 대가로 그의 작품세계는 예술과 神心에 맞닿아 있다.
글자 속에 음양의 理置가 살아 숨쉬고,
문장 속에 천지의 변화가 숨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서예전공 교수 및 박물관장이다.
작품명 : 소태산 오도송 (悟道頌)
작품규격 : 47 X 38 Cm
淸風月上時 청풍월상시
萬像自然明 만사자연명
맑은 바람 불고 달 떠오를 때
삼라만상이 저절로 밝도다.
제목 : 소태산 구간도실 상량구 ( 九間道室上樣句 )
작품 규격 : 47 X 38 Cm
梭圓機日月 사원기일월
織春秋法呂 직춘추법려
두렷한 기틀에 해와 달이 북질을 해서
춘추의 법려를 짠다.
No. | Subject | Author | Date | Views |
---|---|---|---|---|
» |
玄潭 曺首鉉 선생 서예 전각 전시회
[1] ![]() | 귀담 | 2013.06.01 | 6409 |
44 |
나무 송 : 나무야 나무야 푸른 나무야
[1] ![]() | 귀담 | 2013.05.27 | 5805 |
43 |
천자문에 대하여
[3] ![]() | 귀담 | 2013.05.26 | 4147 |
42 |
거북이의 노래 / 귀담
[4] ![]() | 귀담 | 2013.05.26 | 5592 |
41 |
청포도 -- 이육사 / 이명환
[8] ![]() | 귀담 | 2013.05.26 | 6905 |
40 |
陶淵明의 <桃花源記> 와 <桃花源 詩 >
[4] ![]() | 귀담 | 2013.05.26 | 5761 |
39 |
5월의 노래 / 황금찬-- 대호 김종권
[1] ![]() | 귀담 | 2013.05.26 | 5269 |
38 |
할리페뇨 (Jalapeno )
[1] ![]() | 귀담 | 2013.05.25 | 5303 |
37 |
묵필방에 글 올리는 방법
[11] ![]() | 귀담 | 2013.05.25 | 141084 |
36 | 일본 <새빛 미나꼬> 쓴 나의 <호박꽃> 시 | 귀담 | 2013.05.22 | 3215 |
35 |
노년의 삶
[6] ![]() | 귀담 | 2013.05.18 | 5719 |
34 |
초록마음 [草綠心]
[1] ![]() | 귀담 | 2013.05.17 | 5572 |
33 |
父義母慈 --- 송강 정철의 연시조
[1] ![]() | 귀담 | 2013.05.16 | 5906 |
32 |
조홍시가(早紅枾歌)
[1] ![]() | 귀담 | 2013.05.12 | 6054 |
31 |
엄마 말씀 / 엄마날
[1] ![]() | 귀담 | 2013.05.12 | 5153 |
30 |
정목일의 <차 와 난초 >
[2] ![]() | 귀담 | 2013.05.11 | 6157 |
29 |
작품 6
[1] ![]() | 귀담 | 2013.05.11 | 5468 |
28 |
푸르른 날 / 서정주 욱필 시선 중에서
![]() | 귀담 | 2013.05.10 | 3130 |
27 |
란초 / 서정주 시
[1] ![]() | 귀담 | 2013.05.10 | 5757 |
26 |
춘정 ---- 나루선생님께서 각인한 낙관용 인장
![]() | 귀담 | 2013.05.07 | 4044 |
25 | 진주, 진주중고등학교 그리고 나 : 김병지(33회) [1] | 귀담 | 2013.05.05 | 5022 |
24 |
푸르른 오월의 초록 편지
![]() | 귀담 | 2013.05.05 | 2902 |
23 |
붓의 사망신고 : 붓관리 요령
[1] ![]() | 귀담 | 2013.05.05 | 8978 |
22 |
숭례문 현판 글씨
[2] ![]() | 귀담 | 2013.05.03 | 5784 |
21 | 蜀道難 (촉도난) / 이태백 [4] | 귀담 | 2013.05.01 | 7803 |
20 |
이명환교수 : 작품에 낙관하는 법
[1] ![]() | 귀담 | 2013.04.30 | 8470 |
19 |
내가 쓴 입춘서
[2] ![]() | 귀담 | 2013.04.30 | 5595 |
18 |
未堂 徐廷柱의 <꽃>
[1] ![]() | 귀담 | 2013.04.28 | 5015 |
17 |
문둥이 / 徐廷柱
[1] ![]() | 귀담 | 2013.04.28 | 5261 |
16 |
율객(律客) - <작품5 >
[2] ![]() | 귀담 | 2013.04.28 | 5530 |
玄潭이라는 아호도 퍽 마음에 들었지만 막상 작품을 감상하니
자리를 떠고 싶지 않았다. 많은 전시 작품중 몇 점을 골라 사진을 찍고
훗날 서예교본으로 삼고저 간직하고 있는 작품이다.
나는 이런 서필을 좋아하고 또 그렇게 닮으려고 노력한다.
한자와 한글이 잘 調和를 이루어 음양의 진리가 숨어 있다.
특히 한자 한자의 글자가 오랜 경륜의 대가 다운 숨결이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