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6.06 12:27
a
狂奔矗石吼重巒
人語難分咫尺間
常恐是非聲到耳
故敎流水盡龍山
< 광분촉석후중만>
<인어난분지척간>
<상공시비성도이>
<고교유수진룡산>
*奔:달릴분 *矗:우거질촉 *吼:울후
*巒 : 뫼만 *咫 : 길이지 *恐 :두려울공
*是 :바를시 *難 :어려울난 *聲 :소리성
겹겹의 바위에 내닫는 물 동산을 울리니
지척 사이에서도 사람 소리 구별 못하네
늘 시비의 소리 귀에 이를까 두려워
흐르는 물 시켜서 산을 가두어 버렸네.
귀담 초서 / 최치원 시
No. | Subject | Author | Date | Views |
---|---|---|---|---|
165 | 산 하나 강 하나 [4] | 목향 | 2014.07.28 | 4145 |
164 | 미인도의 화가 [1] | 목향 | 2014.07.27 | 4318 |
163 | 피천득의 명시 <지금 이 순간> [1] | 목향 | 2014.07.25 | 10080 |
162 | 내소사 대웅보전 꽃살문 | 목향 | 2014.07.18 | 2127 |
161 | 내 문학의 텃밭-진주 남강과 촉석루(경남신문) [2] | 목향 | 2014.07.07 | 9149 |
160 | 壁에 기대어 | 귀담 | 2014.07.07 | 2571 |
159 | 7월의 찬가 [3] | 목향 | 2014.07.07 | 4356 |
158 | 진주 중.고 교가 [1] | 전영숙(33) | 2014.07.07 | 4545 |
157 | 턱을 고이고 [3] | 귀담 | 2014.06.29 | 4786 |
156 | 초가삼간 | 귀담 | 2014.06.29 | 2059 |
155 | 금문으로 쓴 한시 -- 죽존자 | 귀담 | 2014.06.13 | 2661 |
» | 초서 연습 / 최치원선생 시 [1] | 귀담 | 2014.06.06 | 5813 |
153 | 호랑이 담배 피우던 옛이야기 [1] | 목향 | 2014.05.29 | 5779 |
152 | 사군자를 그리며 [6] | 목향 | 2014.05.28 | 8543 |
151 | 소동파의 한식첩 [5] | 귀담 | 2014.05.26 | 6840 |
150 | 달항아리 [1] | 목향 | 2014.05.18 | 4227 |
149 | 초서작품 [3] | 귀담 | 2014.05.11 | 6534 |
148 | 萬海 한용운 옥중 시 [1] | 귀담 | 2014.05.11 | 5608 |
147 | 도연명의 독산해경 / 석현 임재우선생 작품 [1] | 귀담 | 2014.05.11 | 5780 |
146 | 산과 안개 / 김완하 | 귀담 | 2014.05.11 | 1999 |
145 | 멍청한 봄날 | 귀담 | 2014.05.09 | 2043 |
144 | 해서 연습 [1] | 귀담 | 2014.05.09 | 5331 |
143 | 남국의 파라다이스 / 거제 외도 [1] | 귀담 | 2014.05.08 | 4808 |
142 | 수정(水晶)의 집 / 정목일 | 귀담 | 2014.05.06 | 2702 |
141 | 돌맹이 | 귀담 | 2014.05.04 | 2434 |
140 | 현당 김명자전 [2] | 귀담 | 2014.05.04 | 5922 |
139 | 별을 노래한다. | 귀담 | 2014.05.03 | 1971 |
138 | 녹차의 참맛 [1] | 목향 | 2014.04.26 | 4371 |
137 | 황진이와 서경덕의 사랑 時調 [1] | 귀담 | 2014.04.08 | 8057 |
136 | 지금 이 순간 [1] | 목향 | 2014.04.07 | 4327 |
진주 촉석루 이름의 유례가 최치원 시에서 뽑아 지은 이름인 것 같다.
신라 천재 최치원이 쓴 지리산 깊은 산 속에서 읊은 시에
촉석이란 말이 처음 나오는데, 촉석이란 말은 바위가 겹겹 쌓여 있는 모습을 말한다.
겹겹 바위 위에 지은 집----<촉석루> !
나는 이 시가 마음에 들어, 간직해 두었다가 草書공부하면서 다시 발견되어
작품화할 의도로 연습 해 보았다.
천재 소년 최치원이 12세 때 唐에 유학할 때 쓴 시와 더불어
한국의 명시에 드는 이유는 자연 속에서 세속의 나쁜 시비를 벗어나려는
최치원의 내심을 잘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신라 시대에도 당쟁이나 중상모략이 많았던것 같다.
그래서 지리산으로 몸을 숨기고, 산신령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 巒뫼만의 山 획을 心으로 오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