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9.24 19:44
'역경이 낳은 문학영웅' 도스토예프스키"
‘러시아 문학영웅’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의 인생은 역경 그 자체였다.
청소년 시절 부모를 여읜 뒤 간질을 얻었으며 10년간 수감생활도 했다.
그의 마지막 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은 이런 시련이 녹아든 작품이다.
도스토예프스키는 1821년 11월11일 모스크바 빈민병원 의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소설책에 파묻혀 산 문학소년이었다.
역경은 16세 때 어머니가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시작됐다.
2년 뒤 농노들에 의해 아버지가 살해당하는 장면을 목격해야 했다.
28세 때 ‘유토피아 사회주의’ 사상모임에 가담했다 사형선고까지 받았다.
사형 집행 직전 감형이 이뤄졌지만 10년간 시베리아 수형생활을 견뎌야 했다.
도스토예프스키는 이런 절망감을 소설로 풀어냈다.
공병 장교로 제대한 1년 뒤 쓴 처녀작 ‘가난한 사람들’(1846)은
비평가 벨린스키에게 ‘제2의 고골리’라는 극찬을 받으며 러시아 문단의 신예로 떠올랐다.
수형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죽음의 집의 기록’, 사형 집행 직전의 심경을 표현한 ‘백치’ 등이 히트를 쳤다.
시련은 또다시 이어졌다.
‘백치’ 집필 중 태어난 첫 딸이 100일도 안 돼 사망했고,
그 뒤 세살배기 아들도 잃었다.
충격이 임계치에 달했던 것일까.
인간 심리의 바닥을 보여준 대작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탈고 한 달 만에 그 역시 폐질환으로 눈을 감았다.
그의 나이 60세였다.
r
2013.09.25 22:13
2013.09.26 12:11
베토벤도 헤르만헷세도 헤밍웨이도
우리가 시력이 사라지기 전에
다시 한 번 그들의 세계 즉 사상과 발자취를 찿아
공부할 대상입니다.
기회 나는데로 그들의 <삶과 죽음>을 싸이트에 올려 볼가 합니다.
특히 헤르만 헷세의 수상록 <그리움이 나를 밀고 간다 >는
꼭 읽어 보고 싶은 책입니다.
No. | Subject | Author | Date | Views |
---|---|---|---|---|
105 |
2014년 갑오년 새해 아침 인사
![]() | 귀담 | 2014.01.01 | 2895 |
104 | 외국인 바둑대회 [1] | 귀담 | 2013.12.29 | 5765 |
103 |
세한필 (歲寒筆)
![]() | 귀담 | 2013.12.28 | 2951 |
102 |
친구 집에서
![]() | 귀담 | 2013.12.26 | 3237 |
101 |
꽃 아래서 술잔을 주고 받다.
[4] ![]() | 귀담 | 2013.12.15 | 6106 |
100 | 도정 권상호교수 한자철학#1 [1] | 귀담 | 2013.12.09 | 6866 |
99 | 서예세상 : 도정 권상호 교수 [1] | 귀담 | 2013.12.09 | 6783 |
98 |
어번지조 (魚飜池藻)
[1] ![]() | 귀담 | 2013.12.08 | 2621 |
97 | 漢四郡의 실제위치 [3] | 귀담 | 2013.11.23 | 5442 |
96 | 석재 서병오선생 추모전 관람 [3] | 귀담 | 2013.11.13 | 6183 |
95 |
유상곡수(流觴曲水) 하던 신라 포석정
[1] ![]() | 귀담 | 2013.11.08 | 6240 |
94 |
일신 또 일신 --日新 又 日新
[1] ![]() | 귀담 | 2013.10.25 | 6349 |
93 | 백자(白瓷)의 태깔 / 鄭 木 日(33) [1] | 귀담 | 2013.10.20 | 5373 |
92 | 구절초 꽃차 [2] | 귀담 | 2013.10.19 | 6118 |
91 |
그리운 황소
[1] ![]() | 귀담 | 2013.10.17 | 6124 |
90 |
가을이 오고, 가을이 가는 소리
[1] ![]() | 귀담 | 2013.10.16 | 6140 |
89 | 오유지족 (吾唯知足)한 삶이란 ? [5] | 전영숙(33) | 2013.10.14 | 8286 |
88 |
고구마 --- 전영숙 (33회)
[8] ![]() | 귀담 | 2013.10.01 | 6246 |
87 |
홀로 마시다 취하니
[4] ![]() | 귀담 | 2013.09.29 | 7004 |
86 |
淸夜吟 청야음
[2] ![]() | 귀담 | 2013.09.29 | 6710 |
85 |
詩 : 맨하탄에는 고래가 산다.
[1] ![]() | 귀담 | 2013.09.27 | 5779 |
» |
삶과 죽음 (2) -- 토스토예프스키
[2] ![]() | 귀담 | 2013.09.24 | 7166 |
83 |
싸가지 없이~~~~
[2] ![]() | 귀담 | 2013.09.23 | 10057 |
82 |
바람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고
[3] ![]() | 귀담 | 2013.09.16 | 5806 |
81 |
나의 애송시(愛誦詩)
[4] ![]() | 귀담 | 2013.09.15 | 8161 |
80 |
삶과 죽음 [1] --- 빈센트 반 고흐
[2] ![]() | 귀담 | 2013.08.25 | 15401 |
79 |
집자성교서 集字聖敎序
[1] ![]() | 귀담 | 2013.08.24 | 10263 |
78 |
四字成語 --- 알묘조장 謁描助長이란.
[3] ![]() | 귀담 | 2013.08.21 | 6664 |
77 | 대우주-- 외계 은하들 [5] | 귀담 | 2013.08.18 | 6208 |
76 | 우주, 그 끝은 어디인가.[2] [2] | 귀담 | 2013.08.18 | 5791 |
Good introduction, Kee-jung,
- (Fyodor) Dostooevsky(1821-1881)
- which made me think of Life of Beethoven
- and his Choral Fantasy,
- To the world of ecstasy beyond the pains;
http://www.youtube.com/watch?v=xiLLHRgEI4c
Maybe,
Ultimate Ecstasy is Ultimate Pains
As we read through the Life of Goldmund
by Hermann Hesse, another nove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