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고구마 --- 전영숙 (33회)

2013.10.01 11:40

귀담 Views:6240


img00.d.d1.06.CF_kGFg_NXBY_2509_3.jpg


고구마 항암 효과

 

고구마 하루 반개로 '대장암·폐암 예방 효과' 

                                  항암·항산화인자 베타카로틴의 보고 

 

마오리족 사람들에게 대장암의 빈도가 극히 낮다는데서 착안해

뉴질랜드 대학이 최근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마오리족의 고구마 섭취량이

다른 종족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대학은 계속된 연구를 통해 붉은 색이나 보랏빛 껍질을 가진 과일이나 채소

에 포함된 항산화물질의 양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4배 이상 높고,

생체 이용도도더 높다는 것을 밝혀냈다.

 

1986년 미국 뉴저지의 남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폐암에 걸린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비교한 결과, 폐암을 가장 잘 예방하는 식품으로

뽑힌 것이 고구마,호박, 당근이었다.

 

이는 항암, 항산화 인자로 잘 알려져 있는 베타카로틴(비타민 A의 전구체)

글루타치온이 풍부하기 때문으로,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구마, 호박, 당근을 합쳐 하루에 반 컵 정도만 먹으면, 전혀 먹지

 않는 사람보다 폐암에 걸릴 확률이 절반으로 줄어든다고 하였다.

 

고구마에는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B1, B2, C

젊어지는 비타민으로널리 알려져 있는

비타민 E(토코페롤)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특히 고구마에 들어있는 비타민 C(100g 25mg)는 조리과정을 거쳐도

70-80%가 파괴되지 않고 남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몸에 좋은 성분들은 특히 고구마의 껍질에 많기 때문에

가능한 껍질을벗기지 말고 잘 씻어서 먹는 것이 좋다.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 아메리카로,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기 훨씬 이전부터

식량으로 재배되어 왔고 그 후 중국,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영조 대왕 당시(1763) 일본에 통신사로 갔던 조엄이

대마도에서 고구마를 들여온 것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구마를 많이 먹으면 방귀가 지독하다는 속설이 있는데 이는 잘못됐다.

고구마에 포함된 다량의 섬유소가 인체에 유익한 장내세균들에 의해 분해

되면서,가스 발생의 양은 증가하지만 고약한 냄새를 일으키는 인돌, 황화

수소 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아마도 방귀의 양이 늘어 이렇게 착각하거나 함께 먹은 음식들의 영향을 받아

냄새가 나는 것을 고구마의 탓으로 오인하는 것 같다.

 

고구마를 자를 때 나오는 우윳빛 액체인 얄라핀도 섬유소와 더불어

변비 해소에 큰 도움이 되므로 요구르트, 청국장 등과 함께 부작용이 없는

변비 치료 보조제로사용될 수 있다.

 

고혈압 환자는 하루 소금 섭취량을 6g 이하로 권장하고 있으나, 우리가

 

보통 먹는 음식에는 하루 12g이상의 소금이 포함되어 있는데, 고구마 100g

 

중에는 칼륨이 460㎎이나 함유되어 있어 여분의 염분을 소변과 함께 배출

 

시키므로 혈압을 내리는 작용을 한다.

 

철분도 풍부하여 요즘 편식하는 아이들이나 다이어트하는 여성들에게 흔한

철결핍성 빈혈 해소에 도움이 된다.

 

중간 크기 고구마 한 개의 열량은 170 Kcal정도로(100g당 약 130Kcal)

다른 음식에 비해 섬유질이풍부하여 포만감이 쉽게 느껴지고

변비해소와 피부 미용에도 도움이 되므로 저녁 식사 대신 우유   한잔과 함께 먹으면

다이어트하는 사람에게 아주좋은 대용식이 될 수 있다.

 

고구마를 고를 때에는 껍질이 얇고 선명한 색깔에 표면에 상처가 없는 단단한

 

것이 좋으며 수염뿌리가 많은 것은 질긴 경우가 많다. 껍질 색깔이 진하고 속

 

살이 누럴수록 항산화 물질인 베타카로틴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고구마 한 개만 먹어도 하루 권장 베타카로틴의 2배 가까이 섭취가 가능하니,

환경오염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보물과 같은 음식이 아닐 수 없다.

 

위대한 밥상에 진정한 웰빙 식품인 고구마가 다시 한번 인기를 얻을 날을 기대하며,

오늘 퇴근길에 가족들을 위해 따끈한 군고구마 한 봉지는 어떨까?


 http://<embed src=" " autostart="true" hidden="false" volume="70" loop="1" width=280 height=45>

(옮겨온 글)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5 부채(합죽선) 이야기 [4] file 귀담 2013.06.16 6959
374 궁체정자 작품연습 [4] file 정일헌 2015.06.01 6901
373 청포도 -- 이육사 / 이명환 [8] file 귀담 2013.05.26 6879
372 민족의 대서사시 [6] 전영숙(33) 2015.03.29 6853
371 절차탁마 대기만성 [1] file 귀담 2014.02.16 6853
370 도정 권상호교수 한자철학#1 [1] 귀담 2013.12.09 6829
369 소동파의 한식첩 [5] file 귀담 2014.05.26 6827
368 빗살무늬 토기 항아리 [2] file 목향 2015.05.08 6822
367 서예세상 : 도정 권상호 교수 [1] 귀담 2013.12.09 6776
366 베로니카의 <그리운 금강산> / 방준재 [3] 귀담 2013.06.09 6766
365 금문으로 쓴 한시 file 귀담 2013.02.12 6744
364 반딧불이 [2] file 귀담 2013.07.03 6708
363 도연명의 잡시 한 편 쓰다 [1] file 귀담 2014.02.02 6707
362 淸夜吟 청야음 [2] file 귀담 2013.09.29 6704
361 四字成語 --- 알묘조장 謁描助長이란. [3] file 귀담 2013.08.21 6657
360 백두산트래킹 -- 이병소(33) [3] file 귀담 2013.08.16 6649
359 한글 기초 --- 원필과 방필 귀담 2014.01.05 6642
358 한방에 끝내는 한자부수 [2] 귀담 2014.01.12 6638
357 판본체 [ ㅅ ] 과 [ ㅇ ] 필법 [2] 귀담 2014.01.05 6613
356 초서작품 [3] 귀담 2014.05.11 6524
355 玄潭 曺首鉉 선생 서예 전각 전시회 [1] file 귀담 2013.06.01 6385
354 난초 향기 [4] 목향 2014.03.13 6356
353 일신 또 일신 --日新 又 日新 [1] file 귀담 2013.10.25 6343
352 와! 이건....신이다 [1] file 전영숙(33) 2013.08.03 6302
» 고구마 --- 전영숙 (33회) [8] file 귀담 2013.10.01 6240
350 유상곡수(流觴曲水) 하던 신라 포석정 [1] file 귀담 2013.11.08 6220
349 대우주-- 외계 은하들 [5] 귀담 2013.08.18 6202
348 세기의 대결 10번기 [2] file 귀담 2014.01.30 6201
347 진주유등축제와 서울유등축제 [3] 목향 2013.08.13 6187
346 석재 서병오선생 추모전 관람 [3] 귀담 2013.11.13 6177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