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현담 조수현선생 서예 전각전


대가의 서예는 필법을 뛰어 넘어 藝와 技의 경지에 이르는가.

2011년 나는 현담 조수현 교수의 서예전을 관람하기 위하여

뉴욕업스테이트 <원다마르센타>까지 장장 6시간을 운전하며

관람하고 왔었다. 물론 본인도 만나 인사도 드릴 겸 달려 갔으나

내가 도착한 시간에는  여행을 떠나 직접 대면할 기회를  놓쳤다.

전시된 많은 서예 전각 작품 중에 2점을 올려 본다.


IMG_3856 (2).jpg

<현담 조수현교수 >

현담은 서예계 대가로 그의 작품세계는 예술과 神心에 맞닿아 있다.

글자 속에 음양의 理置가 살아 숨쉬고,

문장 속에 천지의 변화가 숨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서예전공 교수 및  박물관장이다.

 

IMG_6928 (2).jpg


작품명 : 소태산 오도송 (悟道頌) 

작품규격 : 47 X 38 Cm


淸風月上時  청풍월상시

萬像自然明  만사자연명


맑은 바람 불고 달 떠오를 때

삼라만상이 저절로 밝도다.



IMG_6005 (2).jpg


제목 : 소태산 구간도실 상량구 ( 九間道室上樣句 )    

작품 규격 : 47 X 38 Cm


梭圓機日月  사원기일월

織春秋法呂  직춘추법려


두렷한 기틀에 해와 달이 북질을 해서

춘추의 법려를 짠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5 부채(합죽선) 이야기 [4] file 귀담 2013.06.16 6959
374 궁체정자 작품연습 [4] file 정일헌 2015.06.01 6901
373 청포도 -- 이육사 / 이명환 [8] file 귀담 2013.05.26 6879
372 민족의 대서사시 [6] 전영숙(33) 2015.03.29 6853
371 절차탁마 대기만성 [1] file 귀담 2014.02.16 6853
370 도정 권상호교수 한자철학#1 [1] 귀담 2013.12.09 6829
369 소동파의 한식첩 [5] file 귀담 2014.05.26 6827
368 빗살무늬 토기 항아리 [2] file 목향 2015.05.08 6822
367 서예세상 : 도정 권상호 교수 [1] 귀담 2013.12.09 6776
366 베로니카의 <그리운 금강산> / 방준재 [3] 귀담 2013.06.09 6766
365 금문으로 쓴 한시 file 귀담 2013.02.12 6744
364 반딧불이 [2] file 귀담 2013.07.03 6708
363 도연명의 잡시 한 편 쓰다 [1] file 귀담 2014.02.02 6707
362 淸夜吟 청야음 [2] file 귀담 2013.09.29 6704
361 四字成語 --- 알묘조장 謁描助長이란. [3] file 귀담 2013.08.21 6657
360 백두산트래킹 -- 이병소(33) [3] file 귀담 2013.08.16 6649
359 한글 기초 --- 원필과 방필 귀담 2014.01.05 6642
358 한방에 끝내는 한자부수 [2] 귀담 2014.01.12 6638
357 판본체 [ ㅅ ] 과 [ ㅇ ] 필법 [2] 귀담 2014.01.05 6613
356 초서작품 [3] 귀담 2014.05.11 6524
» 玄潭 曺首鉉 선생 서예 전각 전시회 [1] file 귀담 2013.06.01 6385
354 난초 향기 [4] 목향 2014.03.13 6356
353 일신 또 일신 --日新 又 日新 [1] file 귀담 2013.10.25 6343
352 와! 이건....신이다 [1] file 전영숙(33) 2013.08.03 6302
351 고구마 --- 전영숙 (33회) [8] file 귀담 2013.10.01 6240
350 유상곡수(流觴曲水) 하던 신라 포석정 [1] file 귀담 2013.11.08 6220
349 대우주-- 외계 은하들 [5] 귀담 2013.08.18 6202
348 세기의 대결 10번기 [2] file 귀담 2014.01.30 6201
347 진주유등축제와 서울유등축제 [3] 목향 2013.08.13 6187
346 석재 서병오선생 추모전 관람 [3] 귀담 2013.11.13 6177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