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명이장아찌 담그다

2016.05.17 07:17

귀담 Views:705


m03.png



20140421_221956.jpg



20160414_081410.jpg


IMG_1466.JPG




  <명이나물 장아찌>를 담갔다.

지난 주말 마홍크 마운틴에서 캐온 산마늘이라고 불리는

<명이나물>을 담듬고 씻어 장아찌를 담갔다.

인터넷을 찿아 요리법을 익히고 다음날 시장에서 각종 양념과 식초, 양파,고추등등 준비해서

귀담표 <산마늘장아찌>를 담갔다.


                                           < 맛이 기가 막혀요>: 3일 정도 숙성시킨후 냠냠 냠!

IMG_1467.JPG


                                 < 이틀동안 숙성된 사진 : 2주간 숙성 계획>

29BOOKJAHERN-master180.jpg


명이 나물은 옛날 우리 조상들이 긴 겨울을 보내고 먹을것이 떨어지면

산에서 봄철 돋아난 명이나물로 배를 채웠다고 한다.

그래서 생명을 이어준 나물이라 하여 <명이나물>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붙였다니

요즘처럼 먹거리가  풍부한 다이트 시대에는 건강식품으로 정상의 인기를 누리고 있다.

명이 장아찌를 먹은 후 속이 편하고, 소화가 잘 되었고,

 특히 육식과 함께 많이 먹었는데도  속이 아주 편하고  소화도 잘 되었다.


몇 가지 건강효능 효과를 보면

◆소화 활성화. 장기능 강화

◆동맥갱화 예방 및 혈관청소

◆고혈압 예방 및 활성산소 제거

◆식욕증진

◆ 노인성 질환 예방

입맛을 잃기 쉬운 봄날 산과 들에 지천으로 자라는 명이나물로

건강한 노년의 삶을 가꿀 수 있다니 얼마나 좋습니까.

우리 조상들의 지혜가 얼마나 탁월한가를

명이나물로 체험하세요.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405 휴대전화로 할수있는 51가지 작업들 [3] 전영숙(33) 2014.03.24 9664
404 대한민국은 "猜忌 (시기)사회"다! [6] 전영숙(33) 2013.08.11 9347
403 늙음과 낡음에 관한 생각 / 전영숙 [1] file 귀담 2015.06.04 9335
402 내 문학의 텃밭-진주 남강과 촉석루(경남신문) [2] 목향 2014.07.07 9142
401 완제 송기영선생의 추사체 초서 [1] 귀담 2013.02.23 9058
400 붓의 사망신고 : 붓관리 요령 [1] file 귀담 2013.05.05 8867
399 추구집 推句集 [1] file 귀담 2013.07.27 8859
398 한글궁체 정자 기초획 동영상 [8] file 정일헌 2015.05.11 8831
397 隸書基本筆法 [10] 귀담 2014.10.23 8825
396 한글, 한문 작품감상 [1] [2] file 정일헌 2015.05.23 8770
395 침어낙안- 폐월수화 [4] [1] 귀담 2014.11.28 8730
394 사군자를 그리며 [6] 목향 2014.05.28 8536
393 고 박정희 대통령의 서예 file 귀담 2013.06.12 8510
392 王羲之의 蘭亭序 [ 1 ] [6] file 귀담 2014.11.13 8412
391 이명환교수 : 작품에 낙관하는 법 [1] file 귀담 2013.04.30 8383
390 오유지족 (吾唯知足)한 삶이란 ? [5] 전영숙(33) 2013.10.14 8276
389 사자소학1~4 (구양순체)동영상 [3] file 정일헌 2015.05.30 8163
388 나의 애송시(愛誦詩) [4] file 귀담 2013.09.15 8156
387 登鹳雀楼 ( 등관작루 ) 書筆 [1] file 귀담 2013.08.04 8052
386 황진이와 서경덕의 사랑 時調 [1] file 귀담 2014.04.08 8048
385 서정주의 <동천> [1] file 귀담 2013.04.25 8017
384 먹가는 요령, 벼루관리 [4] 정일헌 2015.05.21 7777
383 蜀道難 (촉도난) / 이태백 [4] 귀담 2013.05.01 7739
382 구양순체 작품연습(격언구) [12] file 정일헌 2015.05.17 7730
381 상추쌈 [5] file 귀담 2013.07.12 7614
380 안녕하세요 서예가 중재 신윤구 입니다. [12] 정일헌 2015.05.08 7312
379 궁체흘림 동영상 1, 2, 3 [7] file 정일헌 2015.05.28 7278
378 피천득의 이 순간 [7] [2] 목향 2015.05.16 7258
377 삶과 죽음 (2) -- 토스토예프스키 [2] file 귀담 2013.09.24 7152
376 홀로 마시다 취하니 [4] file 귀담 2013.09.29 6995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