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採山釣水 채산조수

2015.08.20 18:26

귀담 Views:29849





IMG_0350.JPG


採山釣水堪充腹      채산조수감충복

詠月吟風足暢神      영월음풍족창신


採 캘채 釣 낚시조 堪 견딜감 腹 배복

詠 읊을영  吟 읊을음  暢 화창할창 神 귀신신


산에서 나물 캐고 물에서 고기 잡아 배를 채우고

달과 바람을 읊조리니 정신이 한층 맑아 진다.


이 글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花潭 徐敬德선생의

<독서당일지경론>의 한 문장이다.

조선조 선비 혹은 유학자들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삶 중 하나는 歸去來를 설파하고

세속과의 거리를 둔 정신을 의미한 중국 동진시대의

陶淵明의 삶이였다.

이 글은 隱士的 心遠을 바탕으로 쓴 名句다.




§  §  §  §  §  §  §



세상을 살면서 우리에게 지극한 즐거움을 주는 것과

고통을 주는 것은 무엇일까?

장자 왈

<세상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부귀와 장수와 명예이다.

세상에서 즐거워하는 것은 몸의 안락과 맛있는 음식과

아름다운 옷과 좋은 빛깔과 음악같은 것 들이다.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은 빈천과 일찍 죽는 것과

비난을 받는 것이다.

세상에서 괴롭게 여기는 것은 몸이 편안하지 않는 것과

맛있는 것을 먹지 못하는 것과 아름다운 옷을 걸치지 못하는 것과

좋은 빛깔을 보지 못하는 것과 음악을 듣지 못하는 것이다.>


∮ ∮  ∮  ∮  ∮


< 宅如其人>,  <書如其人>이란 말이 있다.

내가 사는 집은 나의 표상이요,

내가 쓴 글은 내 자신의 성품이란 뜻일게다.

한 사람이 살고 있는 집에서

그 사람의 생활상과 인품과 인생관을 엿볼 수 있다.

한 사람이 써 놓은 글은 그 사람의 심성을 느낄 수 있는 표징이다.

집을 꾸미고, 글을 쓰는 삶의 행위는

인생에 있어서 중요한 생활 태도이다.

소박하나마 한가롭게 자연의 변화에 따라 소요하고

자연이 주는 즐거움을 누리면서도 성현을 배우는 공간,

심성을 도야하는 공간, 진리를 탐구하는 궁리의 공간이

바로 <택여기인>  <서여기인>이 아닐런지요?


3THQGLBPCTO6ER0M_8.jpg  

옛 선인들은 吉地를 찿아 집을 지었다.

소위 名堂 자리를 찿아 집을 짓고 심지어 사후까지 영원히

명당자리에 묻히기를 바랬다.

左靑龍과 右白虎가 감싸안고, 背山臨水의 땅이 福地라고 보았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165 한글 판본체(고체)공부자료 [4] file 정일헌 2015.06.03 12583
164 늙음과 낡음에 관한 생각 / 전영숙 [1] file 귀담 2015.06.04 9334
163 민들레 꽃밭 [3] file 귀담 2015.06.14 5148
162 유랑청춘 / 송해 전영숙(33) 2015.06.15 1852
161 제 21회 중재서회전 안내 및 작품보기 [2] 정일헌 2015.06.20 4438
160 그냥 그렇게 [2] file 귀담 2015.06.21 4921
159 陳一郎老師의 蘭亭序 [1] 귀담 2015.06.21 4468
158 문둥 북춤 [1] 목향 2015.06.22 4307
157 폭포 [3] 전영숙(33) 2015.07.03 4114
156 할아버지 상(象) [3] file 귀담 2015.07.03 3864
155 유백 [2] 목향 2015.07.06 3411
154 명왕성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 스토리 [5] file 귀담 2015.07.17 6097
153 마지막 농사 [4] file 목향 2015.07.26 4816
152 아침에 [5] file 귀담 2015.07.30 5606
151 해바라기꽃 [2] file 귀담 2015.08.02 6104
150 나팔꽃 여름 창가 [5] file 귀담 2015.08.10 4664
149 두물머리 [4] file 목향 2015.08.15 4717
148 [1] 목향 2015.08.20 4075
» 採山釣水 채산조수 [1] file 귀담 2015.08.20 29849
146 여름 끝자락 [1] file 귀담 2015.08.23 2696
145 시집가는 딸에게 [1] file 귀담 2015.08.26 4883
144 능선의 미 [1] 목향 2015.08.28 4472
143 롱아일랜드 시티에서 [2] file 귀담 2015.09.01 4585
142 연꽃 밭에서 [4] file 목향 2015.09.06 4463
141 한국에 대한 예언 / 조지 아담스키 [9] 귀담 2015.09.09 5068
140 한복(韓服)을 입고 [4] file 귀담 2015.09.18 4987
139 테니스 입문 기본자세 배우기 [8] 귀담 2015.09.20 5318
138 秋日偶成 추일우성 [3] file 귀담 2015.09.22 4942
137 박꽃 [3] 목향 2015.10.01 4370
136 진주남강유등축제 목향 2015.10.02 1145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