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새해 아침 우주관광

2015.01.01 16:31

귀담 Views:5534

사람들은 한 해를 보내고,

또 새로운 한 해를 맞는 새로움에 들뜬다.

한 해를 시작하는 것은 첫 태양맞이다.

산정으로, 바닷가로 나아가

새벽부터 웅크리고 앉아 신태양을 맞이한다.

마음 속에 日新 又 日新을 所望하며....


역발상으로 먼 우주에서 새해를 맞는

지구의 모습은 어떨까

언젠가 우리의 후손들은 우주의 어느 별나라에서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지구를 바라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7Tb7gzdxfhF.jpg


이곳에 너와 내가 살고있다.

아주 미개동물로, 티끌보다 작은

아메바 보다 작은 모습으로

온갗 추태를 부리며 살고 있다.


58suczke0iQ.jpg


과학이 극도로 발달했다고 하지만

바닷가 모래알 한 톨 줏은 정도라니

과연 과학문명이 한층 발달한 후의

우리들은 어떤 모습일까?



E8PdPqWcdpf.jpg

우주 정거장의 모습이다.

인간의 과학은 이제 여기까지 와서

더 넓고 광대한 우주개척의 전진기지를 마련하였다.



K-10.jpg K-4.jpg


인류는 지구와 닮은 행성을 찿기위해

광활한 우주를 샅샅이 뒤지고 있다.

현재까지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행성은 1000개

그 중에서 생명체가 살 법한 행성은 8개라 한다.

그 중 2개는 지구와 아주 유사한 환경.

케플러-438b와 케플러 - 442b라 한다.

지구에서 470광년과 11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한다.

우주과학이 인류의 새로운시대 열 날이 언제 쯤일까?


K-20.jpg



w18.jpg

우주에서 본 달의 모습


w19.jpg

우주에서 본 지구 모습



JytHlqVtG3B5WyAVHJsH.jpg


우주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

보라! 지구별이 달을 데리고  반짝이고 있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225 陳一郎老師의 蘭亭序 [1] 귀담 2015.06.21 4468
224 스위시 연습 [3] -- 호박꽃 [3] file 귀담 2015.04.12 4465
223 연꽃 밭에서 [4] file 목향 2015.09.06 4463
222 제 21회 중재서회전 안내 및 작품보기 [2] 정일헌 2015.06.20 4438
221 이정수 선배님 수상 소식 [1] file 조현재 2015.11.09 4418
220 박꽃 [3] 목향 2015.10.01 4370
219 녹차의 참맛 [1] file 목향 2014.04.26 4365
218 “한국의 인터넷 사용률은 82.7% [2] 전영숙(33) 2014.03.21 4365
217 7월의 찬가 [3] 목향 2014.07.07 4350
216 아름다운 우리 한글 [3] file 귀담 2014.10.12 4334
215 지금 이 순간 [1] 목향 2014.04.07 4321
214 진인사대천명 [2] file 귀담 2017.05.12 4318
213 미인도의 화가 [1] 목향 2014.07.27 4311
212 인생 싱크홀 [4] 전영숙(33) 2015.04.19 4310
211 문둥 북춤 [1] 목향 2015.06.22 4307
210 손의 표정 [5] 목향 2015.02.07 4295
209 나비효과 [6] file 목향 2015.04.16 4258
208 [送詩] : 세월이여 [5] file 귀담 2014.12.24 4232
207 동문님 새해 건강하십시요 [2] 전영숙(33) 2014.12.31 4224
206 달항아리 [1] 목향 2014.05.18 4224
205 막걸리의 힘 [2] 목향 2014.08.10 4223
204 오늘은 촉석묵필방 경사의 날 [4] 귀담 2015.05.08 4219
203 목월의 <나그네>와 지훈의 <완화삼> [2] file 귀담 2015.03.24 4218
202 초록 잉크 [2] 목향 2014.04.04 4207
201 Swish 연습 [4] -- 콤짱의 봄나들이 [4] file 귀담 2015.04.12 4163
200 진주도립병원과 고향집 [10] file 목향 2015.03.14 4157
199 산 하나 강 하나 [4] 목향 2014.07.28 4141
198 금귀(金龜)를 팔아 술을 마신 시인들 [1] [1] 귀담 2014.11.16 4133
197 폭포 [3] 전영숙(33) 2015.07.03 4114
196 智永 天字文 쓰기 [1] 귀담 2014.11.29 4110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