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새해 아침 우주관광

2015.01.01 16:31

귀담 Views:5534

사람들은 한 해를 보내고,

또 새로운 한 해를 맞는 새로움에 들뜬다.

한 해를 시작하는 것은 첫 태양맞이다.

산정으로, 바닷가로 나아가

새벽부터 웅크리고 앉아 신태양을 맞이한다.

마음 속에 日新 又 日新을 所望하며....


역발상으로 먼 우주에서 새해를 맞는

지구의 모습은 어떨까

언젠가 우리의 후손들은 우주의 어느 별나라에서

그들의 조상이 살았던 지구를 바라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7Tb7gzdxfhF.jpg


이곳에 너와 내가 살고있다.

아주 미개동물로, 티끌보다 작은

아메바 보다 작은 모습으로

온갗 추태를 부리며 살고 있다.


58suczke0iQ.jpg


과학이 극도로 발달했다고 하지만

바닷가 모래알 한 톨 줏은 정도라니

과연 과학문명이 한층 발달한 후의

우리들은 어떤 모습일까?



E8PdPqWcdpf.jpg

우주 정거장의 모습이다.

인간의 과학은 이제 여기까지 와서

더 넓고 광대한 우주개척의 전진기지를 마련하였다.



K-10.jpg K-4.jpg


인류는 지구와 닮은 행성을 찿기위해

광활한 우주를 샅샅이 뒤지고 있다.

현재까지 지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행성은 1000개

그 중에서 생명체가 살 법한 행성은 8개라 한다.

그 중 2개는 지구와 아주 유사한 환경.

케플러-438b와 케플러 - 442b라 한다.

지구에서 470광년과 11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 한다.

우주과학이 인류의 새로운시대 열 날이 언제 쯤일까?


K-20.jpg



w18.jpg

우주에서 본 달의 모습


w19.jpg

우주에서 본 지구 모습



JytHlqVtG3B5WyAVHJsH.jpg


우주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

보라! 지구별이 달을 데리고  반짝이고 있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15 바람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고 [3] file 귀담 2013.09.16 5801
314 우주, 그 끝은 어디인가.[2] [2] 귀담 2013.08.18 5785
313 호랑이 담배 피우던 옛이야기 [1] 목향 2014.05.29 5779
312 詩 : 맨하탄에는 고래가 산다. [1] file 귀담 2013.09.27 5774
311 나무 송 : 나무야 나무야 푸른 나무야 [1] file 귀담 2013.05.27 5774
310 도연명의 독산해경 / 석현 임재우선생 작품 [1] 귀담 2014.05.11 5769
309 외국인 바둑대회 [1] 귀담 2013.12.29 5760
308 숭례문 현판 글씨 [2] file 귀담 2013.05.03 5748
307 란초 / 서정주 시 [1] file 귀담 2013.05.10 5729
306 가람선생의 詩魔를 쓰다 [7] file 귀담 2015.03.21 5719
305 방필 원필 [1] file 정일헌 2015.05.11 5704
304 陶淵明의 <桃花源記> 와 <桃花源 詩 > [4] file 귀담 2013.05.26 5701
303 노년의 삶 [6] file 귀담 2013.05.18 5696
302 아침에 [5] file 귀담 2015.07.30 5606
301 수양버들 [6] 목향 2014.02.24 5604
300 萬海 한용운 옥중 시 [1] 귀담 2014.05.11 5603
299 귀담 한시첩 [1] [3] file 귀담 2014.11.24 5584
298 거북이의 노래 / 귀담 [4] file 귀담 2013.05.26 5567
297 내가 쓴 입춘서 [2] file 귀담 2013.04.30 5567
296 초록마음 [草綠心] [1] file 귀담 2013.05.17 5545
» 새해 아침 우주관광 [5] file 귀담 2015.01.01 5534
294 孤陋愚蒙 고루우몽 <작품3 > [2] file 귀담 2013.04.26 5515
293 문둥북춤 [6] file 목향 2013.07.04 5512
292 율객(律客) - <작품5 > [2] file 귀담 2013.04.28 5505
291 욕쟁이 새 / 귀담 [2] file 귀담 2013.04.28 5449
290 작품 6 [1] file 귀담 2013.05.11 5445
289 졸시 한 편 쓰다. [3] file 귀담 2015.04.18 5444
288 漢四郡의 실제위치 [3] 귀담 2013.11.23 5431
287 역사공부 : 계유정란 [4] 귀담 2014.03.04 5365
286 백자(白瓷)의 태깔 / 鄭 木 日(33) [1] 귀담 2013.10.20 5363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