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모래시계

2014.12.18 05:38

목향 Views:3724

모래시계

 

鄭 木 日

목욕탕에 가도 한증실엔 잘 가지 않는다. 체질적으로 너무 뜨겁거나 찬물에 들어가지 못해 미지근한 물에서만 몸을 담근다. 그러나, 한증실에 들어앉아 땀을 뺄 때가 있다. 다른 사람들은 시원한 표정인데도 나는 인내의 시험실, 극기의 체험장 정도로 여기고 숨을 가다듬는다. 한증실에 놓여 있는 모래시계를 들여다본다. 작은 구멍으로 모래들이 흘러내리는 모습이 갑갑하기만 하다. 5분이 이렇게 지루하고 긴지 모르겠다. 한증실에선 벌거벗은 자신의 모습을 보며, 육체를 통해 드러나는 삶의 실체와 연령의 무게에 대해 생각하는 시간을 가진다. 벌거숭이 육체는 현재의 삶을 대변하는 것이고, 각자의 인생을 반영하는 현실의 모습이다.

 

모래시계를 쳐다본다. 구멍 밖으로 나오려는 많은 모래들을 작은 출입구로 하나씩 통과시키는 모래시계의 구조는 갑자기 도로가 좁아져 교통체증을 일으키는 병목현상이나, 소화불량증처럼 답답한 느낌을 준다. 내가 모래시계 속의 한 알 모래알이라면 언제 저 좁은 구멍을 통과하여 자유로움을 얻게 될 것인가. 모래시계 속에 엄존하는 질서의 무서움, 의외나 요행이 없는 질서정연한 진행 앞에 그만 맥이 빠져버리고 만다.

 

가운데가 잘록한 호리병 모양의 모래시계는 장구를 세워 놓은 듯한 모습인데, 여인의 날렵한 허리를 연상시킨다. 상반부에 든 모래가 중력에 의해 가운데 구멍을 통하여 서서히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시간을 재는 장치다.

5분을 모래 한 알씩으로 재고 있다. 시간이란 절대로 쉽게 흘러가는 것이 아니다. 벌써 몇 번째 모래시계를 거꾸로 놓으며 5분씩을 보내고 있다. 한 알씩 밑으로 떨어진 모래알들은 어김없이 쌓여 원뿔형을 이뤄 놓는다. 모래산을 줄여 놓은 듯이 보인다. 시간의 흔적을 그대로 남겨 놓은 것을 보면서, 망망한 사구(沙丘) 위에 불가사의로 세워져 있는 피라미드는 얼마만큼의 시간이 이룬 퇴적물일까 생각해 본다. 어떻게 모래를 이용하여 시계를 만들려고 했을까. 아나로그시계는 공간과 회전개념을 부여하고 있다. 시계바늘은 12개의 눈금 사이로 회전하여 시각적으로 공간성을 보여줌으로서 여유를 준다. 디지털시계는 공간성을 배제해 버렸다. 1초 단위의 시간 흐름만을 수치로 알려준다. 시간은 맥박처럼 쉴 새 없이 흘러가는 강물이다. 현재진행만 보여준다. 디지탈시대는 2박자가 아니라, 항상 1박자이기 때문에 숨이 차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가려면 숨이 가쁘다. 모래시계는 시간의 양감(量感)을 보여준다. 시간이란 소리 없이 자취 없이 사라져버리는 것인데도, 모래를 통해 부피로 보여준다는 점이 놀랍다. 원시적 방법을 취하고 있지만, 모래시계 말고는 그 어떤 장치가 시간을 양감으로 보여줄 수 있는가. 모래시계를 보면, 시간이 살아 움직이고 숨을 쉬는 것을 느낀다.

 

모래시계를 보며 수건으로 흐르는 땀을 닦아 낸다. 어느새 답답한 기분도 없어지고 열기에도 익숙해져 견딜 만하다. 5분을 기다리는 것이 지루하지도 않다. 모래알들이 많았을 때는 언제 다 빠져나갈까 갑갑했는데, 점점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자, 되려 섭섭해진다. 젊었을 때는 몰랐지만, 나이가 들수록 세월의 속도가 빨라짐을 느끼는 심정이다. 4분쯤 지나 모래알이 떨어지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보면서 이젠 애가 탄다. 속도를 좀 천천히 할 수는 없을까. 언제나 정확하게 5분의 흔적을 남겨 놓는 모래시계를 보면서, 내 인생시계엔 지금 얼마만큼의 모래가 남았을까를 생각한다.

 

내 삶도 모래시계처럼 모래 흔적을 쌓아 놓았을까. 모래 한 알 한 알이 여간 귀중스럽게 느껴지지 않는다. 모래시계 속의 모래 한 알 한 알이 내 삶의 의미와 가치가 돼야 하는데. 내 인생에 주어진 모래알들로 의미와 성취의 흔적을 만들지도, 아직 하나도 모으지 못한 것을 깨닫는다. 섬짓하고 허전하다. 나에게 남겨진 모래알의 분량은 얼마나 될까. 갑자기 모래시계 속의 모래알들이 유리 속에서 소리치고 있다. 나에게 주어진 모래알들을 자신도 모르게 세월 속에 흘려 보내고 말았다.

 

, 내 모래알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인생도 한 알의 모래알이다. 바위가 한 알의 모래알이 되기까진 1억년 이상의 세월이 흘러야 한다. 비록 한 알의 모래알일지라도, 필요 없는 건 다 깎여버리고, 1억 년의 체험과 말들을 담아, 한 번이라도 햇빛에 반짝이는 금모래가 되고 싶다. 단 몇 알일지라도 일생의 흔적을 의미로 남겨 놓고 싶다. 한 알의 모래알인 나는.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195 귀담님 학구열도 좋치만 .... [5] 전영숙(33) 2015.04.08 4097
194 얼굴무늬수막새 [2] file 목향 2014.12.28 4094
193 천자문에 대하여 [3] file 귀담 2013.05.26 4094
192 [1] 목향 2015.08.20 4075
191 함박눈 [2] file 목향 2014.12.29 4034
190 아름다운 곡예 예술입니다.사람이라니깐요.! [7] 전영숙(33) 2015.05.09 4028
189 달항아리 [7] file 목향 2015.04.20 4028
188 춘정 ---- 나루선생님께서 각인한 낙관용 인장 file 귀담 2013.05.07 4023
187 아폴로우주선 달에 가지 않았을까? [3] 귀담 2014.10.21 4006
186 아름다운 구멍 [4] 목향 2015.03.06 3994
185 세월의 선물 [9] file 귀담 2014.12.13 3982
184 한글 궁체 연습 file 귀담 2014.02.02 3954
183 굴(窟) [2] file 목향 2015.01.24 3953
182 아들에게 주는 글 [1] 목향 2014.09.07 3945
181 이런 시절도 있었다 [ 1 ] [2] file 귀담 2015.04.14 3937
180 논개의 가락지 [5] file 목향 2015.03.23 3929
179 나의 시계 [6] 귀담 2015.02.15 3881
178 할아버지 상(象) [3] file 귀담 2015.07.03 3864
177 존재 [1] 목향 2015.01.08 3864
176 가을은 간다 -- 귀담 [3] file 귀담 2015.10.14 3758
175 보고 자파서 죽껏다 씨펄 ! [2] file 귀담 2015.02.28 3751
» 모래시계 [2] 목향 2014.12.18 3724
173 2015년 새해를 맞으며 [1] 목향 2014.12.31 3718
172 죽음의 미학 [1] file 목향 2015.04.18 3712
171 무수 무량 [1] 목향 2014.11.30 3709
170 영원 [2] 목향 2014.10.30 3686
169 배꼽잡는 품바 귀담 2013.06.06 3678
168 신록기(新綠期) [3] file 목향 2015.04.12 3656
167 草書 배우기 [3] file 귀담 2015.12.11 3651
166 바람 [3] 목향 2014.12.19 3648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