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영원

2014.10.30 16:23

목향 Views:3686

영 원

鄭 木 日

 

영원이란 말을 자주 쓰면서 무엇인지 모른다.

이 말처럼 막막하고 그리운 개념도 없다.

언제나 꽉 차 있으면서도 공허하다.

상상력이 피워 올린 극한의 추상 명사다.

유한적 존재인 인간이 영원을 열망하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이 아닐까.

인간은 영원을 설정하지 않고는 배겨낼 수 없다.

죽음의 공포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시적인 삶을 살뿐인 인간이 영원을 수용하는 일은 불가능한 일이다.

영원을 수용하려는 장치로 마련된 것이 종교이리라.

 

생명체이건 무 생명체이건 시간의 침식에 견뎌낼 수 있는 건 없다.

영원의 불망비(不忘碑)로 새긴 금석문(金石文)도 시간의 침식에 견디지 못해 점점 원형을 상실해 간다.

돌로 된 비석도 비바람에 마멸돼 가고 금속도 녹슬어 사라진다.

영원은 시간적 공간적 개념이 합쳐진 데다 존재적 의미가 포함돼 있다.

인간은 영원이라는 통로가 있기 때문에 자유와 행복을 얻을 수 있다.

영원은 인간의 일회성 삶을 보완해 주고 죽음에 대한 공포를 해소시켜주는 유일한 돌파구이다.

 

인간이 모든 능력을 기울여 추구하는 목표점에 영원이 자리 잡고 있다.

영원을 의식하지 않는다면 동물의 삶과 별반 다를 게 무엇인가.

영원의 얼굴을 보고 싶어 하고. 숨결을 느끼고 싶어 한다.

문화유적지,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 인류의 문화를 집대성한 곳에 가보면,

영원의 하늘 한 모서리가 비쳐 보이는 듯하다.

사람들은 영원 만들기에 열중하면서 죽음을 맞고 있는 것이 아닐까.

무한과 영원은 동의어인가.

무한과 유한, 영원과 순간은 반의어적 개념만은 아닐 것이다.

한 알의 모래알 속에 내재돼 있는 영원을 본다.

이슬방울 하나에서 영원의 얼굴을 본다.

바람과 구름을 통해서도 영원을 느낀다.

인간이 태어나고 떠나야 할 곳이 영원이기에 언제나 그리움의 대상이 되는 게 아닐까.

 

하루살이의 일생이 하루라면 단지 24시간일 뿐일까.

그 삶엔 영원이 없는 것일까.

인간도 하루하루를 살뿐이다.

하루살이의 일생에서 하루살이를 없애면 하루는 영원하다.

 

영원은 소유 개념이 아니다.

를 배제시켜야 비로소 영원이 다가옴을 느낀다.

가을 하늘을 바라볼 때, 무심결에 영원이 열리는 걸 느끼곤 했다.

이기. 집착. 한정. 속단의 세계가 아니다.

무한 자유이고 없으며 있는 것이다.

. 공간과 생사(生死)도 없는 세계다.

그리움의 원천이며 모든 생명체의 영혼의고향이다.


나는 영원의 일부이고 싶다.

영원에서 와서 영원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무한을 생각하면 우리 삶은 찰나에 불과하지만 그 찰나 속에 영원을 담아두고 싶다.

영원은 지식과 체험의 세계가 아니다.

관념과 무의식의 세계도 아니다.

인간의 상상력과 영혼을 확대시켜주는 무한 세계가 아닐까.

나는 영원 속으로 사라져 가고 싶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195 귀담님 학구열도 좋치만 .... [5] 전영숙(33) 2015.04.08 4097
194 천자문에 대하여 [3] file 귀담 2013.05.26 4095
193 얼굴무늬수막새 [2] file 목향 2014.12.28 4094
192 [1] 목향 2015.08.20 4075
191 함박눈 [2] file 목향 2014.12.29 4034
190 아름다운 곡예 예술입니다.사람이라니깐요.! [7] 전영숙(33) 2015.05.09 4028
189 달항아리 [7] file 목향 2015.04.20 4028
188 춘정 ---- 나루선생님께서 각인한 낙관용 인장 file 귀담 2013.05.07 4023
187 아폴로우주선 달에 가지 않았을까? [3] 귀담 2014.10.21 4006
186 아름다운 구멍 [4] 목향 2015.03.06 3994
185 세월의 선물 [9] file 귀담 2014.12.13 3982
184 한글 궁체 연습 file 귀담 2014.02.02 3954
183 굴(窟) [2] file 목향 2015.01.24 3953
182 아들에게 주는 글 [1] 목향 2014.09.07 3945
181 이런 시절도 있었다 [ 1 ] [2] file 귀담 2015.04.14 3937
180 논개의 가락지 [5] file 목향 2015.03.23 3929
179 나의 시계 [6] 귀담 2015.02.15 3881
178 할아버지 상(象) [3] file 귀담 2015.07.03 3864
177 존재 [1] 목향 2015.01.08 3864
176 가을은 간다 -- 귀담 [3] file 귀담 2015.10.14 3758
175 보고 자파서 죽껏다 씨펄 ! [2] file 귀담 2015.02.28 3751
174 모래시계 [2] 목향 2014.12.18 3725
173 2015년 새해를 맞으며 [1] 목향 2014.12.31 3718
172 죽음의 미학 [1] file 목향 2015.04.18 3712
171 무수 무량 [1] 목향 2014.11.30 3709
» 영원 [2] 목향 2014.10.30 3686
169 배꼽잡는 품바 귀담 2013.06.06 3678
168 신록기(新綠期) [3] file 목향 2015.04.12 3656
167 草書 배우기 [3] file 귀담 2015.12.11 3651
166 바람 [3] 목향 2014.12.19 3648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