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피천득의 명시 <지금 이 순간>

2014.07.25 18:06

목향 Views:10080

영원과 만나는 ‘이 순간’ / 정목일
[유심 60호] 2013년 04월 01일 (월) 정목일 namuhae@hanmail.net

이 순간 내가
별들을 쳐다본다는 것은
그 얼마나 화려한 사실인가.

오래지 않아
내 귀가 흙이 된다 하더라도
이 순간 내가
제9교향곡을 듣는다는 것은
그 얼마나 찬란한 사실인가.

그들이 나를 잊고
내 기억 속에서 그들이 없어진다 하더라도
이 순간 내가
친구들과 웃고 이야기한다는 것은
그 얼마나 즐거운 사실인가.

두뇌가 기능을 멈추고
내 손이 썩어 가는 때가 오더라도
이 순간 내가
마음 내키는 대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은
허무도 어찌하지 못할 사실이다.

 

 

 

 

피천득 선생은 한국 현대수필 1세대를 대표하는 수필가이자 시인이고 번역 문학가였다. 평소에 시인으로 불리길 좋아하신 분이셨다. 금아 선생의 수필은 탁월한 은유법을 보이고, 짧고 운율이 흐른다는 점에서 시적인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 금아 선생의 수필은 시의 산문화(散文化)라고 할 수 있다. 5매 내외의 짧은 분량에 간결하고 함축성 있는 문장은 고결하고 향기로운 삶과 인격에서 우러난 인생의 발견과 깨달음의 꽃이다. 금아 선생의 문장에서 돋보이는 요소는 시적인 운율, 비유, 절제, 함축, 유미적인 요소가 아닐까 한다.

피천득 선생과의 인연은 하늘이 주신 은혜로 생각한다. 1975년 《월간문학》 1976년 《현대문학》을 통해 수필 부문 최초의 등단 작가가 되어 10년이 넘었지만 선생과 만날 기회가 없었다. 지방에서 묻혀 지내는 무명의 수필가를 기억하실 까닭도 없을 테고, 한 번 찾아뵐 용기도 없었다.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작가들의 모임인 ‘현대문학수필작가회’에서 동인수필집을 내고 출판기념회를 개최하면서 수필 모임엔 한 번도 참석하신 일이 없는 선생께 초대장을 보내드렸다. 참석하시리라곤 생각도 하지 못했는데, 뜻밖에 참석해 주셨다. 선생께서 “이런 자리에 참석한 일이 없는데, 정목일 수필가를 만나고 싶어 왔다.”고 하셔서 얼마나 놀랐는지 모른다. 일주일쯤 지나서, 창원에서 서울로 올라와 금아 선생의 댁을 방문하였다. 거실에서 금아 선생께 세 번 절을 올렸다. 선생께서 무명 수필가의 이름을 불러주시고 격려해 주신 데 대한 감사와 함께 마음으로 스승으로 모시고 싶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이다. 내성적인 성격이어서 선생께서 이름을 불러주시지 않았더라면 용기를 내어 댁을 방문할 용기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거실엔 서양과 동양의 대시인들의 사진이 붙어 있고, 사진 밑엔 말린 장미 송이 하나씩을 테잎으로 붙여 놓았다. 고결한 영혼을 노래했던 대시인과 영혼 교감을 하는 모습을 보여 주셨다. 내 손을 이끌어 침실에 안내하시고 마치 소년처럼 얘기하셨다. 생전에 좋아하시던 영국 영화배우 잉그리드 버그만의 사진들이 여러 장 붙어 있고, 침대 옆 의자 위 커다란 여자 인형이 놓여 있었다. 이 인형은 고명딸 서영이가 갖고 놀던 것인데, 딸이 시집간 이후로 ‘난영’이란 이름을 붙여 수양딸로 삼아 머리도 빗겨주고 계절마다 옷을 갈아입히며 아침저녁으로 인사말을 나누면서 지낸다고 웃으셨다. 나도 〈서영이와 난영이〉라는 선생의 수필을 읽었으므로 난영이의 손을 만지며 인사를 나누었다.

일 년에 서너 번 정도지만 금아 선생을 방문하곤 했다. 봄철이면 하동 쌍계사 우전차를 구해 보내드리면 전화 ‘잘 받았다’고 말씀하시고, 댁에 가면 영국 홍차와 재스민차를 선물로 주셨다. 서울에서 수필교실을 열고 일주일에 한 번 강의를 한다고 말씀 드렸더니, 제자들을 데리고 오라고 하셨다. 몇 차례 제자들을 데리고 댁으로 인사드리러 갔다. 그때마다 선생께선 당신의 책에다 서명하셔서 제자들에게 선물해 주시곤 했다.

금아 선생이 돌아가시고 난 뒤, 불현듯 〈이 순간〉을 암송해보곤 한다. 이 시를 외어보면 선생과 함께 별을 보고 있는 듯하다. 내가 별을 바라보는 것은 얼마나 기적 같은 순간인가. 하나의 별이 내 눈동자에 들어오기까지 몇 광년을 걸쳐 달려와 비로소 지금 이 순간에 만나고 있다. 나도 그 별과 만나기 위해 태어나 지금 이 순간을 기다렸던 것인가.

피천득 선생의 〈이 순간〉을 외면서 깨닫곤 한다. 나는 늘 평범하고 무덤덤한 오늘에 불만을 토하고, 언제나 빛나고 향기로운 내일만을 꿈꾸면서 헛되이 보낸 시간의 낭비자였다. 영원에 눈이 어두워, 찬란한 미래만을 꿈꾸면서 살아온 못난이가 아니었던가. 지금 이 순간의 진실과 깨달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영원을 만나는 길임을 모르고 허송세월을 하고 말았다. 이 순간 삶의 의미와 진실을 찾는 일이 인생을 꽃피우는 일인 줄 모르고 지냈다.

피천득 선생의 시 〈이 순간〉에서 글을 쓰는 나에게 가장 위로를 주는 것은 “이 순간 내가/ 마음 내키는 대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은/ 허무도 어찌하지 못할 사실이다.”라는 구절이다.
‘이 순간’의 발견, 자각과 노력은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깨달음이 아닐 수 없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165 산 하나 강 하나 [4] 목향 2014.07.28 4145
164 미인도의 화가 [1] 목향 2014.07.27 4318
» 피천득의 명시 <지금 이 순간> [1] 목향 2014.07.25 10080
162 내소사 대웅보전 꽃살문 목향 2014.07.18 2127
161 내 문학의 텃밭-진주 남강과 촉석루(경남신문) [2] 목향 2014.07.07 9149
160 壁에 기대어 귀담 2014.07.07 2571
159 7월의 찬가 [3] 목향 2014.07.07 4356
158 진주 중.고 교가 [1] 전영숙(33) 2014.07.07 4545
157 턱을 고이고 [3] 귀담 2014.06.29 4786
156 초가삼간 file 귀담 2014.06.29 2059
155 금문으로 쓴 한시 -- 죽존자 file 귀담 2014.06.13 2661
154 초서 연습 / 최치원선생 시 [1] file 귀담 2014.06.06 5813
153 호랑이 담배 피우던 옛이야기 [1] 목향 2014.05.29 5779
152 사군자를 그리며 [6] 목향 2014.05.28 8543
151 소동파의 한식첩 [5] file 귀담 2014.05.26 6840
150 달항아리 [1] 목향 2014.05.18 4227
149 초서작품 [3] 귀담 2014.05.11 6534
148 萬海 한용운 옥중 시 [1] 귀담 2014.05.11 5608
147 도연명의 독산해경 / 석현 임재우선생 작품 [1] 귀담 2014.05.11 5780
146 산과 안개 / 김완하 file 귀담 2014.05.11 1999
145 멍청한 봄날 file 귀담 2014.05.09 2043
144 해서 연습 [1] file 귀담 2014.05.09 5331
143 남국의 파라다이스 / 거제 외도 [1] 귀담 2014.05.08 4808
142 수정(水晶)의 집 / 정목일 file 귀담 2014.05.06 2702
141 돌맹이 file 귀담 2014.05.04 2434
140 현당 김명자전 [2] file 귀담 2014.05.04 5922
139 별을 노래한다. file 귀담 2014.05.03 1971
138 녹차의 참맛 [1] file 목향 2014.04.26 4371
137 황진이와 서경덕의 사랑 時調 [1] file 귀담 2014.04.08 8057
136 지금 이 순간 [1] 목향 2014.04.07 4327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