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薄薄酒 박박주-- 소동파 詩

2016.03.05 09:45

귀담 Views:1862

薄薄酒 박박주

薄薄酒 勝茶湯 박박주 승다탕

皺皺布 勝無裳 추추포 승무상

醜妻惡妾勝空房 추첩악처승공방

五更待漏靴滿霜 오경시루화만상

不如三伏日高  불여삼복일고

睡足北窓凉  수족북창량


珠孺玉匣 주유옥갑

萬人祖送歸北邙 만인조송귀북망

不如懸醇百結 불여현순백결

獨坐負朝陽 독좌부조양

生前富貴死後文章 생전부귀사후문장

百年瞬息萬世忙 백년순시만세망

夷齊盜蹠俱亡羊 이제도척구망양

不如眼前一醉 불여안전일취

是非憂樂都兩忘 시비우락도양망


IMG_1357.JPG


묽은 술일망정 차보다 낫고

거친 옷일망정 없는 것 보다 나으며

못생긴 아내와 성질 고약한 첩일망정

없는 것 보다는 났네.

오경에 다루원에서

신발 가득히 서리 맞아야하는 벼슬살이는

삼복에 해가 높히 솟을 때까지

늘어지게 자고 북창아래서 시원한 바람 씌우는

야인의 생활보다 못하네.


구슬로 장식한 수의 입고 옥으로 만든 관에 넣어져

만인의 칭송 받으며 북망산에 들어가는 것은

누륵누륵 궤맨 남루한 옷입고

홀로 앉아 아침 햇볕 받으며 살아가는 것만 못하네

살아서는 부귀 누리고죽으면 문장이 남겨지길 원하나

백년도 한 순간이요 만세도 바삐 지나갈 뿐

백이 숙제이건 도척이건 죽어 없어지긴 마찬가지니

지금 당장 취하여

옳고 그름과 근심 즐거움을 모두 잊는 것만 못하네.



薄薄酒-- 묽은 술,  추추布- 거친 마포. 서민의복장.  醜妻惡妾추처악첩-- 못 생긴 아내와 성질 못된 첩.

五更-- 하룻밤을 초경, 이경, 삼경, 사경, 오경으로 나눈다.오전 3시~5시.

待淚-- 대신들이 조회에 참석하기 위하여 새벽부터 대궐에 나와 기다리는 것.

靴滿霜 -- 궁문 밖에서 기다리는 동안 서리가 신발에 가득함.

주유옥갑 -- 구슬로 장식한 속옥과 옥으로 만든 상자.

祖送 -- 관을 묘지에 보냄,

北邙山 -- 죽는 것을 뜻함. 왜 죽는 것을 북망산 간다고 했을 까? 북망산은 하남성과 낙양 땅의 북족에 있는

작은 산인데 이곳에 漢 이후의 역대 제왕과 귀인 명사들의 무덤이 많아 후세에 이르러 사람들이 죽어가는 곳으로 대표하게 되었다.

<縣순>은 < 매추라기 순 (亨+鳥)>으로 (한자지원 안됨) 소매 짧은 옷을 입은 것을 가르킨다.

荀子 <大略篇>에 子夏는 가난하여 옷을 입은 것이 메추라기 같았다.

縣醇百結 -- 가난한 사람과 남루한 옷을 가르킴.  백결은 옷이 헤어져 너덜너들 기운 것.

독좌부조양- 홀로 앉아 아침 햇볕을 받음

瞬息 : 눈 깜작할 사이. 우리말 <순식간>은 한자로 표현한 말이다

俱亡羊-- 구망양이란 모두가 양을 잃었다는 표현. 현자나 우자나 모두 죽고 없다는 뜻.

장자에 나오는 이야기로 장과 곡이 모두 양을 잃버리고 말았다. 臧은 책을 읽다가 穀은 놀이를 하고 있다가

양을 잃어 버렸다. 두사람 양을 잃은 것은 같았다. 백이는 이름을 위하여 수양산에서 굶어 죽었고,

대도 도척은 이욕 때문에 두릉산에서 죽었다.

두 사람 죽은 곳은 달라도 목숨을 헤치고, 본성을 상하게 했다는 점은 같다.

都兩忘 -- 是非憂樂을 모두 잊는 것을 가르킨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5 모홍크의 하루 : 산마늘- 명이나물 이야기 [1] [4] file 귀담 2016.05.15 854
374 대금산조 [1] 목향 2016.05.14 782
373 행복은 [2] file 귀담 2016.05.09 774
372 산행 [1] file 귀담 2016.05.09 810
371 소록도를 행복하게 만든 거룩한 손 [2] file 목향 2016.04.23 1086
370 훈민정음 서문 연습 [2] file 귀담 2016.04.20 1269
369 한글서예-- 국화 옆에서 file 귀담 2016.04.04 1454
368 금문 <竹存者--眞覺慧諶> file 귀담 2016.04.01 1180
367 목련 file 귀담 2016.04.01 895
366 신록기l [1] file 목향 2016.03.28 1144
365 蘇軾 의 家設 -- <蘇軾 家說 送同 年 張琥 句 > [1] file 귀담 2016.03.26 1690
364 아리랑 [2] 귀담 2016.03.24 914
363 file 목향 2016.03.17 1012
362 귀거래사 다시 읽기 [2] file 귀담 2016.03.16 1692
361 3월 봄비 - 정목일 file 귀담 2016.03.06 1061
360 영월에 찍힌 역사의 두 쉼표 file 목향 2016.03.05 1210
» 薄薄酒 박박주-- 소동파 詩 file 귀담 2016.03.05 1862
358 난초와 매화 / 알파고: 이세돌 바둑대결 [3] file 귀담 2016.03.03 3150
357 四君子: 난초 그리기 -- 蘭描法 [5] file 귀담 2016.02.27 5253
356 기수결 起手訣 [1] file 귀담 2016.02.26 2745
355 四君子 - 매화연습 [2] file 귀담 2016.02.24 2411
354 墨法辨 - 추사 김정희 [2] [1] 귀담 2016.02.23 21332
353 四君子 -- 梅花 [3] file 귀담 2016.02.13 2519
352 산수유 꽃 [3] file 목향 2016.02.12 2290
351 梅花 그리기 [ 1 ] - 梅描法 [3] file 귀담 2016.02.09 2350
350 추일우성 붓글로 익히다 [5] file 귀담 2016.02.04 2516
349 봄이오는 길목 -- 한글서예 판본체 [2] file 귀담 2016.02.02 3225
348 北魏 元禎墓誌銘 (원정묘지명) [1] file 귀담 2016.02.01 2389
347 詩와 書 [1] file 귀담 2016.01.30 2038
346 金龜를 팔아 술마신 시인들 [2] file 귀담 2016.01.26 1986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