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詩論

2016.11.27 13:53

귀담 Views:285




d61a57cea947f21b2cc1a41df0311d9d.png


untitled.png


시를 잘 쓰려면

詩는 책을 되풀이해 읽는다고 좋은 시를 쓸 수는 없다.

훌륭한 詩를 줄줄 외워도 소용없다

.詩는 배워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면 그냥 가만 있으면 저절로 되는가?

턱도 없는 소리다.

뜻이 높아야 제 목소리를 낼 수 있고, 뜻이 넓어야 맞는 말을 할 수 있다.

뜻이 없으면 시도 없다.시를 잘 쓰려면 뜻을 길러야 한다.

똥물을 길러 셈물을 만들 수 없다.

시가 안 써지거든 삶의 자리를 둘러 보라.

마음에 묻은 지꺼기를 닦아내고 맑고 참된 지혜와 등불을 높이 내 걸어라

시는 그 다음의 일이다.

-- 다산의 글 ---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405 신춘 揮毫 -- 草書 file 귀담 2017.01.11 16290
404 宋 慧開禪師 無門關詩 --예서체 귀담 2017.01.11 512
403 눈내리는 새해 아침 [1] file 귀담 2017.01.07 449
402 아름다운 배경 [2] 목향 2016.12.30 378
401 狂草의 書法-- 이백의 將進酒 감상 귀담 2016.12.28 496
400 草書 빨리 익히기 [2] 귀담 2016.12.28 619
399 초서 詩詞句選 100 首 [4] 귀담 2016.12.26 1294
» 詩論 file 귀담 2016.11.27 285
397 朱熹의 四季詩 [2] file 귀담 2016.11.09 10915
396 꽃에게 말 걸기 목향 2016.10.29 311
395 마음꽃 피우기 목향 2016.10.18 408
394 四君子 - 국화 그리기 [1] [5] file 귀담 2016.10.18 671
393 천자문 행서 습서 [1] file 귀담 2016.10.15 2790
392 축해이산 - 蹴海移山 [5] file 귀담 2016.09.28 1958
391 아름다운 구멍 목향 2016.09.22 362
390 뭉게구름 [3] file 귀담 2016.09.08 492
389 法古創新- 법고창신 file 귀담 2016.09.08 425
388 찻물에 대한 명상 [1] 목향 2016.09.01 436
387 주희의 사계시 [1] 귀담 2016.08.19 751
386 붓글쓰며 듣는 노래 [2] file 귀담 2016.08.02 372
385 산행 山行 [1] 귀담 2016.07.29 374
384 타악기의 명인 [1] 목향 2016.07.17 396
383 푸른 초록잎이 피기 위해 file 귀담 2016.07.11 334
382 7월의 꽃 [2] 목향 2016.06.27 513
381 응씨배 세계바둑선수권 대회 귀담 2016.06.11 437
380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옛이야기 [9] file 목향 2016.05.30 1071
379 엔탈피와 엔트로피 [3] file 귀담 2016.05.28 795
378 하루살이의 죽음 [1] 목향 2016.05.26 828
377 명이장아찌 담그다 [3] file 귀담 2016.05.17 710
376 천자문 초서 공부 [1] [2] file 귀담 2016.05.16 55111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