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주희의 사계시

2016.08.19 13:25

귀담 Views:742

도원장 선생님께서 지도해 주신 주희의 <사계시>


송나라 <주문공>으로 추앙되는 주희는 훗날 공자, 맹자, 주자로 성리학의 시조가 되어 유학을 숭상하는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게 됩니다.

그렇다고 그는 딱딱한 선비이거나 고루한 유학자만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오히려 송나라의 대표적인 서예가의 한 사람이기도 했고,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습니다.

주자가 직접 시를 짓고 글씨를 써서 40여년 간 거처한 오부리의 자양루에 걸려 있던 <사계시>를 올립니다.

 

<주자의 四季詩>

 

 

曉起坐書齋<효기좌서재>     새벽에 일어나 서재에 앉으니

落花推滿俓<낙화추만경>     떨어진 꽃 무더기 오솔길에 가득하다.

只此是文章<지차시문장>     다만 이것이 문장이니

揮毫有餘興<휘호유여흥>     붓을 휘두름에 흥취 남아 도노라.

 

 

 

古木被高陰<고목피고음>     고목이 높이 솟아 그늘에 덮여 있으니

晝坐不知暑<주좌부지서>     한낮에 앉아 있어도 더위를 모르겠네.

會得古人心<회득고인심>     이에 옛사람의 마음 알겠으니

開襟靜無語<개금정무어>     옷깃을 열고 말없이 고요히 있노라.


 

 

  

 

 

悉率鳴床頭<실솔명상두>     귀뚜라미 침상머리에서 우니

夜眠不成廂<야면불성상>     깊은 밤 잠을 이루지 못하노라.

起閱案前書<기열안전서>     일어나 책상 앞에서 책을 펼치니

西風拂庭桂<서풍불정계>     서풍이 뜨락의 계수나무를 스치누나.

 

 

 

瑞雪飛瓊瑤<서설비경요>     서설이 옥구슬처럼 나르는데

梅花靜相倚<매화정상의>     매화 고요히 서로 의지하였도다.

獨占三春魁<독점삼춘괴>     홀로 봄 세 달의 우두머리 되어

深涵太極理<심함태극리>     태극의 이치를 깊이 머금었구나.

<회 옹/ 晦 翁>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405 휴대전화로 할수있는 51가지 작업들 [3] 전영숙(33) 2014.03.24 9664
404 대한민국은 "猜忌 (시기)사회"다! [6] 전영숙(33) 2013.08.11 9347
403 늙음과 낡음에 관한 생각 / 전영숙 [1] file 귀담 2015.06.04 9334
402 내 문학의 텃밭-진주 남강과 촉석루(경남신문) [2] 목향 2014.07.07 9142
401 완제 송기영선생의 추사체 초서 [1] 귀담 2013.02.23 9058
400 붓의 사망신고 : 붓관리 요령 [1] file 귀담 2013.05.05 8865
399 추구집 推句集 [1] file 귀담 2013.07.27 8859
398 한글궁체 정자 기초획 동영상 [8] file 정일헌 2015.05.11 8827
397 隸書基本筆法 [10] 귀담 2014.10.23 8812
396 한글, 한문 작품감상 [1] [2] file 정일헌 2015.05.23 8768
395 침어낙안- 폐월수화 [4] [1] 귀담 2014.11.28 8729
394 사군자를 그리며 [6] 목향 2014.05.28 8536
393 고 박정희 대통령의 서예 file 귀담 2013.06.12 8510
392 王羲之의 蘭亭序 [ 1 ] [6] file 귀담 2014.11.13 8412
391 이명환교수 : 작품에 낙관하는 법 [1] file 귀담 2013.04.30 8380
390 오유지족 (吾唯知足)한 삶이란 ? [5] 전영숙(33) 2013.10.14 8276
389 사자소학1~4 (구양순체)동영상 [3] file 정일헌 2015.05.30 8163
388 나의 애송시(愛誦詩) [4] file 귀담 2013.09.15 8156
387 登鹳雀楼 ( 등관작루 ) 書筆 [1] file 귀담 2013.08.04 8051
386 황진이와 서경덕의 사랑 時調 [1] file 귀담 2014.04.08 8048
385 서정주의 <동천> [1] file 귀담 2013.04.25 8017
384 먹가는 요령, 벼루관리 [4] 정일헌 2015.05.21 7774
383 蜀道難 (촉도난) / 이태백 [4] 귀담 2013.05.01 7738
382 구양순체 작품연습(격언구) [12] file 정일헌 2015.05.17 7728
381 상추쌈 [5] file 귀담 2013.07.12 7614
380 안녕하세요 서예가 중재 신윤구 입니다. [12] 정일헌 2015.05.08 7311
379 궁체흘림 동영상 1, 2, 3 [7] file 정일헌 2015.05.28 7278
378 피천득의 이 순간 [7] [2] 목향 2015.05.16 7257
377 삶과 죽음 (2) -- 토스토예프스키 [2] file 귀담 2013.09.24 7152
376 홀로 마시다 취하니 [4] file 귀담 2013.09.29 6995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