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년의 삶

2013.05.18 23:18

귀담 Views:5696

내 노년의 삶


<인생 일흔고개가 되면 발걸음을 조심해야 한다.

어제까지 멀쩡하게 함께 놀던 친구가 보이지 않는다.

새벽에 울리는 전화벨 소리는 언제나 불길하다.

함부로 어쓱대다가는 하늘그물에 걸리기 십상이다.>


우리는 이런 불안한 생각에서 빨리 탈피해야 한다.

그리고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젊은 시절의 열정을 이어가야 한다.

적당한 운동과 휴식으로 건강바란스 유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새벽에 일찍 잠이 깨이는 시간은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확실히 노년에는 활용할 시간이 많아진 것이다.

이런 시간에 글쓰고, 책읽으며 사색에 젖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시간인가.

노년은 적성에 맞는 취미생활을 통해 자아실현이라는 꿈을 맛보는 시간이기도 하다.


노년은  인생에 있어서 가장 축복 받은 시간이다.

열심히 고갯마루까지 헐떡이며 올라와 아래로 내려다 보면서

시원한 바람결에 머리카락 날리며 땀방울 식히는 시간이다.

더 오를 길이 없음으로 이제는 하산할 준비를 하는  시간이다.


하산의 시간에는 무엇을 할 것인가


공부를 하라고 권유를 하고 싶다.

멍청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은 나를 나태의 벼랑으로 끌고 간다.

젊은 시간보다 더욱 열정적이고, 여유있게 탐구할 수 있는 시간이

노년의 시간이 아니겠는가.

과거는 우리가 살아가는데 그늘일 뿐, 미래의 행복은 결코 될 수 없다.

과거에 매달려 미래를 나아가지 못하는 사람들.

우리 주위에 얼마나 많은가? 과거에 묻혀 죽어서는 않되지 않겠는가.

사람들 마다 "바쁘다"란 말을 입에 달고 산다.

지구촌의 사건 사고 소식이 한시도 멈추지 않고 손끝의 크맄 한 번으로 퍼져 나간다.

너무 많은 정보와 지식으로 세상은 혼란스럽다.

이 혼란에서 자신을 보호하고, 벗어나는  길은 배움 밖에 없다.

배움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일상적인 배움 (Basic Everyday Learning = B.E.L) 이고 두 번째는 변화를 불러오는 배움

(Transformative Leaning = T,F.L) 이다.


< 공부해서 남주라.>

노년에 참 어울리는 말이다.

우리가 자식에게 남길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세상은 자고 나면 변해 있다.

오늘은 어제가 아니다.

강이 변하고 산이 변해있다.

"십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라는 말은 까마득한 고전 속의 말이 되었다.

세상이 하도 빠른 속도로 달려 변화의 가속도를 따라 잡지 못하면 어둠 속을 헤메는 신세가 된다.

일상적인 배움은 이전에 몰랏던 것을 배우는 것이고, 이것은 우리를 근본적으로 변화 시키지는 않지만

우리의 부족한 부분을 매워준다. 변화를 불러오는 배움은 늘 우리를 불안하게 한다.

우리 일상의 관습적인 사고를 뒤흔들어 놓는다. 또한 우리 마음을 새롭게 짜 맞추고,

세상을 성숙한 눈으로 보게해 준다.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서는 우리는 어떤 생활태도를 지녀야 하는가?

미국의 저명한 토니덜링톤 박사는 " 멋지게 나이 드는 법"이란 그의 박사학위 논문에서

일생동안 배우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논술하고 있다.

우리가 하나 하나 음미할 문항들이다.

1) 늘 열린 마음을 가져라.


2) 책을 읽고 또 읽어라


3) 자신과 남을 알고 이해하라


4) 인터넷 사용법을 익혀라.


5) 여행을 통해 배워라


6) 다른 사람의 말에 주위를 기울이며  들어라


7)호기심을 가져라


parasoru.gif


세상은 우리 생각보다 훨씬 빨리 변하고 있다.

그 변화에 보조를 맞추기 위해서는 관습에 얽매이지 말고

변화에 합류하는 용기를 가져야 하리.

한 번 크게 웃어 보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Copy of img_11_56992_0[1].gif

 




10.gif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15 바람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고 [3] file 귀담 2013.09.16 5801
314 우주, 그 끝은 어디인가.[2] [2] 귀담 2013.08.18 5785
313 호랑이 담배 피우던 옛이야기 [1] 목향 2014.05.29 5779
312 詩 : 맨하탄에는 고래가 산다. [1] file 귀담 2013.09.27 5774
311 나무 송 : 나무야 나무야 푸른 나무야 [1] file 귀담 2013.05.27 5774
310 도연명의 독산해경 / 석현 임재우선생 작품 [1] 귀담 2014.05.11 5769
309 외국인 바둑대회 [1] 귀담 2013.12.29 5760
308 숭례문 현판 글씨 [2] file 귀담 2013.05.03 5748
307 란초 / 서정주 시 [1] file 귀담 2013.05.10 5729
306 가람선생의 詩魔를 쓰다 [7] file 귀담 2015.03.21 5719
305 방필 원필 [1] file 정일헌 2015.05.11 5704
304 陶淵明의 <桃花源記> 와 <桃花源 詩 > [4] file 귀담 2013.05.26 5701
» 노년의 삶 [6] file 귀담 2013.05.18 5696
302 아침에 [5] file 귀담 2015.07.30 5606
301 수양버들 [6] 목향 2014.02.24 5604
300 萬海 한용운 옥중 시 [1] 귀담 2014.05.11 5603
299 귀담 한시첩 [1] [3] file 귀담 2014.11.24 5584
298 거북이의 노래 / 귀담 [4] file 귀담 2013.05.26 5567
297 내가 쓴 입춘서 [2] file 귀담 2013.04.30 5567
296 초록마음 [草綠心] [1] file 귀담 2013.05.17 5545
295 새해 아침 우주관광 [5] file 귀담 2015.01.01 5534
294 孤陋愚蒙 고루우몽 <작품3 > [2] file 귀담 2013.04.26 5515
293 문둥북춤 [6] file 목향 2013.07.04 5512
292 율객(律客) - <작품5 > [2] file 귀담 2013.04.28 5505
291 욕쟁이 새 / 귀담 [2] file 귀담 2013.04.28 5449
290 작품 6 [1] file 귀담 2013.05.11 5445
289 졸시 한 편 쓰다. [3] file 귀담 2015.04.18 5444
288 漢四郡의 실제위치 [3] 귀담 2013.11.23 5431
287 역사공부 : 계유정란 [4] 귀담 2014.03.04 5365
286 백자(白瓷)의 태깔 / 鄭 木 日(33) [1] 귀담 2013.10.20 5363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