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조홍시가(早紅枾歌)

2013.05.12 09:21

귀담 Views:6013

조홍시가(早紅枾歌) /  박인로(朴仁老)


盤中 早紅감이 고아도 보이다


柚子 안이라도 품엄즉도 다마


품어 가 반기리 업슬 글노 설워 이다


img_13_1329_2.jpg


[어구풀이]

*반중 조홍감 : 소반에 놓인 일찍 익은 감.

*반기리 : 반길 사람.

*업슬 : 없는 까닭으로. ‘’는 “~이므로“ ”고로“ 등의 뜻.

*글로 : 그런 이유로.

*早紅枾 : 잘 익어 단맛이 좋은 홍시. 枾: 감나무.


[현대어풀이]

소반에 놓인 감이 곱게도 보이는구나

비록 유자가 아니라도 품어 갈 마음이 있지만,

품어가도 반가워해 주실 부모님이 안 계시기 때문에

그를 서러워합니다.


[시작배경]

이 시조는 선조 34년, 작자 41세 때 지은 것으로

'조홍시가' 라는 제목의 작품이다. 작자가 한음 이덕형을 찿아 갔을 때

한음이 조홍시를 대접하므로 중국의 육적이  귤을 품고 돌아간 옛 일에 비추어,

돌아가신 부모님을 생각하고 이 작품을 쓴 것이라 한다.


중국 삼국시대에 吳나라에 육적(陸積)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여섯살 때 원술(袁術)이라는 사람을 찿아 갔다가 그가 내 놓은 귤 중에서

세 개를 몰래 품속에 넣었다가 하직 인사를 할 때 주르르 흘러나와  발각이 되었다.

그때 원술이 귤[橘]을 감춘 사연을 물었더니, 육적이 대답하기를 집에 가져가 어머님께

드릴려고 하였다고 하니 모두 그의 효심에 감동하였다고 한다.

이 고사를 <회귤고사 懷橘古事>, <육적회귤 陸績懷橘>이라고 하여, 부모에 대한 효성의 뜻으로 쓰인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45 죽을래! 그냥~~그냥 살래! <음악테그> [7] file 귀담 2015.04.05 6151
344 정목일의 <차 와 난초 > [2] file 귀담 2013.05.11 6135
343 가을이 오고, 가을이 가는 소리 [1] file 귀담 2013.10.16 6133
342 그리운 황소 [1] file 귀담 2013.10.17 6119
341 구절초 꽃차 [2] 귀담 2013.10.19 6107
340 한글서예 [2] 전영숙(33) 2013.03.30 6105
339 해바라기꽃 [2] file 귀담 2015.08.02 6104
338 명왕성 탐사선 뉴 호라이즌스 스토리 [5] file 귀담 2015.07.17 6099
337 명심보감구-행서(작품연습 체본)| [4] file 정일헌 2015.05.25 6090
336 꽃 아래서 술잔을 주고 받다. [4] file 귀담 2013.12.15 6085
335 힘 / 力 [1] file 귀담 2013.07.14 6056
» 조홍시가(早紅枾歌) [1] file 귀담 2013.05.12 6013
333 四君子 -- 대나무 그리기 연습 [1] [1] file 귀담 2017.05.15 5998
332 호태왕비체 [1] file 귀담 2015.12.30 5980
331 행복과 불행은 [2] file 전영숙(33) 2013.07.31 5962
330 서예를 처음 배울때 구입해야할 준비물 (문방사우) [10] 정일헌 2015.05.08 5938
329 하나님과 인터뷰 [2] 전영숙(33) 2013.07.27 5927
328 실사구시 實事求是 [1] file 귀담 2014.01.26 5922
327 현당 김명자전 [2] file 귀담 2014.05.04 5921
326 안녕! 하십니까. [2] file 귀담 2014.02.02 5915
325 심심할 때 두는 바둑 [2] file 귀담 2014.01.16 5895
324 父義母慈 --- 송강 정철의 연시조 [1] file 귀담 2013.05.16 5889
323 구성궁예천명기초획 상세동영상 3 [2] file 정일헌 2015.05.09 5857
322 뉴욕의 함박눈 [5] file 귀담 2015.01.27 5854
321 詩: 좌골신경통 [5] file 귀담 2015.01.21 5851
320 면앙정잡가 [1] file 귀담 2014.02.09 5831
319 고양이 가두기 [2] 전영숙(33) 2013.07.22 5825
318 <작품4>:피리를 불면 [1] file 귀담 2013.04.27 5820
317 찔레꽃 [4] [1] file 목향 2015.05.22 5810
316 초서 연습 / 최치원선생 시 [1] file 귀담 2014.06.06 5807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