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薄薄酒 박박주-- 소동파 詩

2016.03.05 09:45

귀담 Views:1862

薄薄酒 박박주

薄薄酒 勝茶湯 박박주 승다탕

皺皺布 勝無裳 추추포 승무상

醜妻惡妾勝空房 추첩악처승공방

五更待漏靴滿霜 오경시루화만상

不如三伏日高  불여삼복일고

睡足北窓凉  수족북창량


珠孺玉匣 주유옥갑

萬人祖送歸北邙 만인조송귀북망

不如懸醇百結 불여현순백결

獨坐負朝陽 독좌부조양

生前富貴死後文章 생전부귀사후문장

百年瞬息萬世忙 백년순시만세망

夷齊盜蹠俱亡羊 이제도척구망양

不如眼前一醉 불여안전일취

是非憂樂都兩忘 시비우락도양망


IMG_1357.JPG


묽은 술일망정 차보다 낫고

거친 옷일망정 없는 것 보다 나으며

못생긴 아내와 성질 고약한 첩일망정

없는 것 보다는 났네.

오경에 다루원에서

신발 가득히 서리 맞아야하는 벼슬살이는

삼복에 해가 높히 솟을 때까지

늘어지게 자고 북창아래서 시원한 바람 씌우는

야인의 생활보다 못하네.


구슬로 장식한 수의 입고 옥으로 만든 관에 넣어져

만인의 칭송 받으며 북망산에 들어가는 것은

누륵누륵 궤맨 남루한 옷입고

홀로 앉아 아침 햇볕 받으며 살아가는 것만 못하네

살아서는 부귀 누리고죽으면 문장이 남겨지길 원하나

백년도 한 순간이요 만세도 바삐 지나갈 뿐

백이 숙제이건 도척이건 죽어 없어지긴 마찬가지니

지금 당장 취하여

옳고 그름과 근심 즐거움을 모두 잊는 것만 못하네.



薄薄酒-- 묽은 술,  추추布- 거친 마포. 서민의복장.  醜妻惡妾추처악첩-- 못 생긴 아내와 성질 못된 첩.

五更-- 하룻밤을 초경, 이경, 삼경, 사경, 오경으로 나눈다.오전 3시~5시.

待淚-- 대신들이 조회에 참석하기 위하여 새벽부터 대궐에 나와 기다리는 것.

靴滿霜 -- 궁문 밖에서 기다리는 동안 서리가 신발에 가득함.

주유옥갑 -- 구슬로 장식한 속옥과 옥으로 만든 상자.

祖送 -- 관을 묘지에 보냄,

北邙山 -- 죽는 것을 뜻함. 왜 죽는 것을 북망산 간다고 했을 까? 북망산은 하남성과 낙양 땅의 북족에 있는

작은 산인데 이곳에 漢 이후의 역대 제왕과 귀인 명사들의 무덤이 많아 후세에 이르러 사람들이 죽어가는 곳으로 대표하게 되었다.

<縣순>은 < 매추라기 순 (亨+鳥)>으로 (한자지원 안됨) 소매 짧은 옷을 입은 것을 가르킨다.

荀子 <大略篇>에 子夏는 가난하여 옷을 입은 것이 메추라기 같았다.

縣醇百結 -- 가난한 사람과 남루한 옷을 가르킴.  백결은 옷이 헤어져 너덜너들 기운 것.

독좌부조양- 홀로 앉아 아침 햇볕을 받음

瞬息 : 눈 깜작할 사이. 우리말 <순식간>은 한자로 표현한 말이다

俱亡羊-- 구망양이란 모두가 양을 잃었다는 표현. 현자나 우자나 모두 죽고 없다는 뜻.

장자에 나오는 이야기로 장과 곡이 모두 양을 잃버리고 말았다. 臧은 책을 읽다가 穀은 놀이를 하고 있다가

양을 잃어 버렸다. 두사람 양을 잃은 것은 같았다. 백이는 이름을 위하여 수양산에서 굶어 죽었고,

대도 도척은 이욕 때문에 두릉산에서 죽었다.

두 사람 죽은 곳은 달라도 목숨을 헤치고, 본성을 상하게 했다는 점은 같다.

都兩忘 -- 是非憂樂을 모두 잊는 것을 가르킨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75 부채(합죽선) 이야기 [4] file 귀담 2013.06.16 6960
374 궁체정자 작품연습 [4] file 정일헌 2015.06.01 6902
373 청포도 -- 이육사 / 이명환 [8] file 귀담 2013.05.26 6879
372 민족의 대서사시 [6] 전영숙(33) 2015.03.29 6853
371 절차탁마 대기만성 [1] file 귀담 2014.02.16 6853
370 도정 권상호교수 한자철학#1 [1] 귀담 2013.12.09 6829
369 소동파의 한식첩 [5] file 귀담 2014.05.26 6828
368 빗살무늬 토기 항아리 [2] file 목향 2015.05.08 6822
367 서예세상 : 도정 권상호 교수 [1] 귀담 2013.12.09 6776
366 베로니카의 <그리운 금강산> / 방준재 [3] 귀담 2013.06.09 6766
365 금문으로 쓴 한시 file 귀담 2013.02.12 6744
364 반딧불이 [2] file 귀담 2013.07.03 6708
363 도연명의 잡시 한 편 쓰다 [1] file 귀담 2014.02.02 6707
362 淸夜吟 청야음 [2] file 귀담 2013.09.29 6704
361 四字成語 --- 알묘조장 謁描助長이란. [3] file 귀담 2013.08.21 6657
360 백두산트래킹 -- 이병소(33) [3] file 귀담 2013.08.16 6649
359 한글 기초 --- 원필과 방필 귀담 2014.01.05 6643
358 한방에 끝내는 한자부수 [2] 귀담 2014.01.12 6638
357 판본체 [ ㅅ ] 과 [ ㅇ ] 필법 [2] 귀담 2014.01.05 6613
356 초서작품 [3] 귀담 2014.05.11 6526
355 玄潭 曺首鉉 선생 서예 전각 전시회 [1] file 귀담 2013.06.01 6385
354 난초 향기 [4] 목향 2014.03.13 6362
353 일신 또 일신 --日新 又 日新 [1] file 귀담 2013.10.25 6343
352 와! 이건....신이다 [1] file 전영숙(33) 2013.08.03 6302
351 고구마 --- 전영숙 (33회) [8] file 귀담 2013.10.01 6240
350 유상곡수(流觴曲水) 하던 신라 포석정 [1] file 귀담 2013.11.08 6220
349 대우주-- 외계 은하들 [5] 귀담 2013.08.18 6202
348 세기의 대결 10번기 [2] file 귀담 2014.01.30 6201
347 진주유등축제와 서울유등축제 [3] 목향 2013.08.13 6187
346 석재 서병오선생 추모전 관람 [3] 귀담 2013.11.13 6177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