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秋日偶成 추일우성

2015.09.22 01:46

귀담 Views:4942

秋日偶成 추일우성

'가을날의 즉흥시'

 

-程顥정호 (北宋, 1032-1085)

 

閑來無事不從容 한래무사불종용

睡覺東窓日已紅 수각동창일이홍

萬物靜觀皆自得 만물정관개자득

四時佳興與人同 사시가흥여인동

道通天地有形外 도통천지유형외

思入風雲變態中 사입풍운변태중

富貴不淫貧賤樂 부귀부음빈천락

男兒到此是豪雄 남아도차시호웅

 

'한가롭자, 일마다 조용 하지 아니함이 없고,

잠 깨자 동창東窓에 해가 이미 붉었구나.

만물萬物을 고요히 관觀하니 다 스스로 얻었고,

사계절의 아름다운 흥興도 사람과 더불어 같이 하도다.

도道는 천지간 형상이 없는 것에 까지 이르고,

모든 것이 자연의 섭리 가운데 있음을 알게 된다.

부귀富貴에 흔들리지 않고 가난을 즐기니

남아男兒가 이 경지에 이르면 이것이 영웅호걸이 아니겠는가!'


20130731_174152-1.jpg


작가 소개

靑泉 鄭 雲 在 (1932壬申 4月 23日 陰~ )


雅號: 靑泉, 時習齋, 棋聲齋


師事: (書藝) 菁南 吳濟峰 先生


(周易) 德山 李敏宅 先生


※經 歷


•靑泉 書藝書室 院長(現在)


•高麗大學敎 敎育大學院 書藝文畵最高位科程 講師(現在)


•(社)대한민국미술대전 招待作家(現在)


•부산시 미술대전 招待作家(現在)


•(社)菁南文化 理事(現在)


•甲子書會 顧問(現在)


•부산시서예학원 總聯合會 副會長(歷任)


•한국書畵작가협회 副會長(歷任)


청천靑泉선생님처럼 글씨를 많이 써 주시는 서예인은 많지 않을 것이다.

붓을 잡으면 순식간에 오체, 칠체를 넘나늘면서 써 내려간다.

평생을 하루 천자 이상을 쓰실 정도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작품을 창작하는 장법에 탁월하며 부분과 전체가 어우러지는 유기적인 상호연관성을 중요시 한다.

전통과 해학적 현대 조형언어로 글씨가 유려流麗하면서도,

비백飛白의 속도감에 격렬함·섬세함까지 표출하면서 시공간을 넘나든다.

또한 명성이나 경력에 권위를 내려놓고 많은 작품들을 써 주시는데,

이는 대중들이나 후학들에게 보다 널리 사랑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이 있어서 일 것이다.

삶의 마지막 까지 붓과 함께 회사후소繪事後素!하는 이 시대의 진정한 서성書聖이라 하여도 허물이 없을 것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15 바람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고 [3] file 귀담 2013.09.16 5801
314 우주, 그 끝은 어디인가.[2] [2] 귀담 2013.08.18 5785
313 호랑이 담배 피우던 옛이야기 [1] 목향 2014.05.29 5779
312 詩 : 맨하탄에는 고래가 산다. [1] file 귀담 2013.09.27 5774
311 나무 송 : 나무야 나무야 푸른 나무야 [1] file 귀담 2013.05.27 5774
310 도연명의 독산해경 / 석현 임재우선생 작품 [1] 귀담 2014.05.11 5769
309 외국인 바둑대회 [1] 귀담 2013.12.29 5760
308 숭례문 현판 글씨 [2] file 귀담 2013.05.03 5748
307 란초 / 서정주 시 [1] file 귀담 2013.05.10 5729
306 가람선생의 詩魔를 쓰다 [7] file 귀담 2015.03.21 5719
305 방필 원필 [1] file 정일헌 2015.05.11 5704
304 陶淵明의 <桃花源記> 와 <桃花源 詩 > [4] file 귀담 2013.05.26 5701
303 노년의 삶 [6] file 귀담 2013.05.18 5696
302 아침에 [5] file 귀담 2015.07.30 5606
301 수양버들 [6] 목향 2014.02.24 5604
300 萬海 한용운 옥중 시 [1] 귀담 2014.05.11 5603
299 귀담 한시첩 [1] [3] file 귀담 2014.11.24 5584
298 거북이의 노래 / 귀담 [4] file 귀담 2013.05.26 5567
297 내가 쓴 입춘서 [2] file 귀담 2013.04.30 5567
296 초록마음 [草綠心] [1] file 귀담 2013.05.17 5545
295 새해 아침 우주관광 [5] file 귀담 2015.01.01 5534
294 孤陋愚蒙 고루우몽 <작품3 > [2] file 귀담 2013.04.26 5515
293 문둥북춤 [6] file 목향 2013.07.04 5512
292 율객(律客) - <작품5 > [2] file 귀담 2013.04.28 5505
291 욕쟁이 새 / 귀담 [2] file 귀담 2013.04.28 5449
290 작품 6 [1] file 귀담 2013.05.11 5445
289 졸시 한 편 쓰다. [3] file 귀담 2015.04.18 5444
288 漢四郡의 실제위치 [3] 귀담 2013.11.23 5431
287 역사공부 : 계유정란 [4] 귀담 2014.03.04 5365
286 백자(白瓷)의 태깔 / 鄭 木 日(33) [1] 귀담 2013.10.20 5363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