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유백

2015.07.06 15:17

목향 Views:3411


                       유백(乳白)




                                                          鄭 木 日






 나는 조선 달 항아리 빛깔을 사랑한다. 달 항아리 빛깔은 반사되는 빛이 아니라, 꽃이 되고 향기를 내는 빛이다. 엄동(嚴冬)의 땅에서 제일 먼저 봄을 알리는 백매(白梅)와 뒤이어 피는 흰 목련꽃, 아카시 꽃과 찔레꽃을 좋아한다. 그 꽃들의 빛깔이 유백색이다. 유백색은 안으로 깊은 고요를 지니고 있다.  

 흰 빛이라도 유백(乳白)이 있는가 하면, 설백(雪白)과 청백(淸白)이 있다. 우리 민족은 어째서 흰 빛을 유달리 더 좋아했을까. 흰 옷을 즐겨 입었을까. 흰 창호지 방문을 보고 새벽을 맞았고 백자를 사랑하였던 것일까.

 조선시대엔 무명옷 차림의 도공들이 5백 년 동안이나 백자를 만들어내는 데 정신을 쏟았다. 세계 어느 민족이나 모양 좋고 빛깔이 선명한 도자기를 빚어내는 데 열중하는 동안, 하필이면 왜 화려한 색감을 다 버리고, 오로지 백색 탐구에만 정성을 기울여 왔던 것일까. 

 조선이 유학을 통치철학으로 삼아서 절제, 수양을 생활 덕목으로 삼았다고 해도, 5백 년간 백색에 대한 추구와 미의식은 다른 민족에게서 찾아볼 수 없다. 한국인의 미의식 속에는 유독 백색에 대한 애착과 선호감이 있는 것일까.

 우리 민족은 백의민족(白衣民族)이란 말을 들었다. 태어날 때와 죽었을 때의 옷은 흰 옷이었다. 흰 빛은 깨끗하고 정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새롭고 성스러우며 때 묻지 않은 결백성을 드러낸다.

 어렸을 적에 산과 들판에서 곧잘 백자 파편들을 보곤 했다. 나는 백자 사금파리에서 조선시대의 하늘을 보았다. 백자 사금파리에 담긴 하늘은 맑고 청명했다. 조선인의 영혼이 담겨 있었다. 애써 백자 빛깔을 빚고자 한 것은 영원과 대화를 나누고자 한 게 아니었을까. 영원에 닿으려면 한없이 맑고 깨끗해야 한다.

 백색의 오묘한 깊이에 닿으려면 쉼 없는 연마와 노력 끝에 깨달음의 하늘을 만나야 한다. 인간의 마음을 영원으로 인도하는 빛이 있다면 백색이 아닐까. 백색의 끝없는 탐구, 탐닉, 도취 속에 반 천년이 흘러갔다.

 유백색은 아기를 먹이기 위한 어머니의 젖빛을 말한다. 우유 빛깔과 굴 빛깔도 흡사하다. 달빛에 젖은 백목련 빛이 유백색이며, 짙은 향기를 풍기는 찔레꽃이나 아카시 꽃이 유백색이다.

 또 민들레 줄기나 엉컹퀴 줄기에서 나오는 흰 액체의 빛깔이 유백색이다. 젖빛은 곧 생명의 빛이다. 불순물이라곤 섞이지 않은 순수한 빛깔이면서, 모성으로부터 보호를 받는 듯한 성스러움과 정결함을 지녔다. 유백색은 상처나 아픔이 있으면 아물게 하고 말끔히 치유하게 할 듯한 모성의 빛깔이다.

 달 항아리를 보고 있으면 백자 빛이 광택으로 눈부시지 않고, 마음으로 감싸 품어주는 것을 느낀다. 유백색은 갓난아기처럼 순하게 만들고, 편안하고 깨끗하게 해주는 자비로운 빛깔이다. 조금도 자극하거나 현혹하지 않고  영혼을 감싸주는 빛깔이다. 유백색을 보면 평화와 부드러움과 사랑을 느낀다. 울긋불긋하고 화려한 색에서 느끼는 들뜬 감정과는 다르다.

 인간에게 가장 편안하고 만족감을 주는 광경은 아기가 엄마 품에 안겨 젖을 빨고 있는 모습이 아닐까. 아기의 옷과 기저귀는 흰 것이 가장 좋아 보인다. 아기와 엄마의 눈이 서로를 바라보고, 숨결과 심장 박동이 닿아 있다. 모든 근심이 사라지고 평화와 사랑이 넘쳐흐른다.  유백색은 순수의 빛, 모성의 빛이다. 더 이상 욕심이 없는 마음 빛깔이다. 마음을 비우는 것, 텅 빈 허공이게 하는 것이 아닐까.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285 구성궁예천명 기초획 상세 동영상1,2 [2] file 정일헌 2015.05.09 5344
284 귀전 원거 [1] file 귀담 2014.03.21 5340
283 仁慈隱惻 (인자은측) [4] file 귀담 2013.07.06 5331
282 해서 연습 [1] file 귀담 2014.05.09 5321
281 테니스 입문 기본자세 배우기 [8] 귀담 2015.09.20 5318
280 소헌 정도준 동문의 작품 감상 [3] file 귀담 2015.05.10 5317
279 할리페뇨 (Jalapeno ) [1] file 귀담 2013.05.25 5276
278 四君子: 난초 그리기 -- 蘭描法 [5] file 귀담 2016.02.27 5254
277 5월의 노래 / 황금찬-- 대호 김종권 [1] file 귀담 2013.05.26 5248
276 문둥이 / 徐廷柱 [1] file 귀담 2013.04.28 5235
275 구성궁예천명 - 九成宮醴泉銘 [5] file 귀담 2016.01.22 5213
274 깊어가는 가을 밤에 [9] file 귀담 2014.10.25 5208
273 찔레꽃 / 귀담 [2] file 귀담 2013.06.01 5156
272 민들레 꽃밭 [3] file 귀담 2015.06.14 5148
271 배움은 끝이 없네 [4] file 귀담 2013.06.06 5142
270 나도 테스트-- 움직이는 영상 제작법 [9] file 귀담 2015.04.02 5141
269 엄마 말씀 / 엄마날 [1] file 귀담 2013.05.12 5128
268 소유한다는 것은 [1] file 귀담 2013.04.16 5125
267 먼 기억 / 목향 [2] 목향 2015.10.03 5117
266 민들레 꽃 / 미당 서정주 [1] file 귀담 2013.04.27 5112
265 세기의 대결 : 10변기 2국 [4] file 귀담 2014.03.16 5106
264 추산이 석양을 띄고 [10] file 귀담 2014.09.14 5084
263 서예와 인격수양 [1] file 정일헌 2015.05.11 5074
262 한국에 대한 예언 / 조지 아담스키 [9] 귀담 2015.09.09 5068
261 김효정 그림 [3] file 귀담 2015.05.10 5032
260 진주, 진주중고등학교 그리고 나 : 김병지(33회) [1] 귀담 2013.05.05 4997
259 무수 무량 [3] 목향 2014.02.07 4996
258 未堂 徐廷柱의 <꽃> [1] file 귀담 2013.04.28 4995
257 Death Velly에 가고 싶다. [5] file 귀담 2015.01.03 4991
256 한복(韓服)을 입고 [4] file 귀담 2015.09.18 4987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