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독서유감 (讀書有感)

2015.02.04 18:50

귀담 Views:4729

독서유감 讀書有感 /  화담 서경덕 花潭 徐敬德


讀書當日志經綸  歲暮還甘顔氏貧

독서를 할 때에는 큰 뜻을 가슴에 품고

가난의 쓰라림도 달게 받아 감내하며

부귀를 멀리하면서 산과 물에 안겼으리


세모환감: 만년의 달콤한 시간.   안씨빈 : 안희의 가난함


富貴有爭難下手  林泉無禁可安身

부귀에는 다툼이 많아  내가 어찌 손을 댈 것인가

숲과 물은 금함이 없어 심신이 편안하였네


 임천 : 나무와 강 즉 대자연.  가안신 : 몸을 편안하게할 수 있다.   




採山釣水堪充腹  詠月吟風足暢身

산에서 나물캐고 물에서 낚시하여 배를 채우고

음풍영월로 마음을 풀었네


채산조수 : 산에서 나물캐고 강에서 고기 잡다    감충복 : 배를 채움



學到不疑知快闊  免敎虛作百年人

학문이란 의혹이 없어야 상쾌하나니

평생의 허량함을 면케 할 수 있네.



 면교허작 : 허망함을 면하게 함.      백년인 : 오랜 세월






IMG_0187.JPG


조선 중종 때의 대학자 화담 선생의 <독서당일지경륜> 칠언율시를 공부하려고 작심한지 오래 되었으나

시간과 마음의 여유가 없어 차일피일 미루다가 좌골신경통으로 누워 보내는 동안 통증을 잊기 위해

읽은 것이 보약이 되었다. 화담선생은 황진이-박연폭포와 더불어 <송도3절>로 지칭되는 시인이며. 대유학자이다.

이 작품은 작자의 인생관이 뚜렷하게 표출된 명작이다.

책읽는 사람의 탈속한 모습이 부럽기도 하다.

요즘 세태는 책을 읽지 않고, 콤퓨터에 의존하거나 핸드폰에 자신의 모든 것을 맡긴다.

화담선생 시절엔 콤이 없었어 일까?

책읽는 사람은 콤시대에도 책을 읽는다.

화담의 <독서당일지경륜>은 독서의 중요성은 물론 사람됨의 완성을 위해서 독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독서하는 습성을 기르자!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IMG_0198.JPG IMG_0199.JPG

오늘 공부 많이 햇다 ㅎㅎㅎ


[ 정리]


讀書當日志經綸  歲暮還甘顔氏貧

富貴有爭難下手  林泉無禁可安身

採山釣水堪充腹  詠月吟風足暢身

學到不疑知快闊  免敎虛作百年人


[ 글을 읽을 때는 세상 다스리는 일에 뜻을 두었건만 나이들어 이제는 가난함을 달갑게 여기며 사네 ]


[ 부귀는 다툼이 있으니 손대기 어렵고 숲과 샘물은 임자 없으니 몸을 편히 담을 수 있네 ]


[ 산에서 나물케고 물에서 고기 낚아 배를 채우고 달을 노래하고 바람을 읊으니 정신이 맑아지네 ]


[공부하여 의심없게 되면 쾌활함을 느끼니 헛된 인생살이를 면한 듯 싶네 ]


[ 화담선생의  율시 ]


冷積千山雪  高明一天月 庭前獨步人 意思何淸潔 

       < 냉적천산설  고명일천월  정전독보인  의사하청결 >


눈은 온 산에 차갑게 쌓여있고

달은 하늘 가운데 높다랗게 비치고 있네

뜰 앞 홀로 거니는 사람 있으니

그의 마음 얼마나 맑고 깨끗할까.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435 서예(붓글씨) 초보자 기초입문 동영상강의-필독 [11] [2] file 정일헌 2015.05.09 272740
434 묵필방에 글 올리는 방법 [11] file 귀담 2013.05.25 140885
433 구성궁예천명 기초획 동영상 전체 [2] file 정일헌 2015.05.09 74889
432 천자문 초서 공부 [1] [2] file 귀담 2016.05.16 54169
431 일본은 망했다 / 충격적 보고서 [19] [5] file 귀담 2013.07.20 47094
430 소헌 정도준의 격려편지와 작품 [10] [1] file 귀담 2013.04.20 41875
429 서예작품감상 [1] [1] 정일헌 2015.05.09 41617
428 한글 흘림체 연습 [2] file 귀담 2014.11.02 32798
427 採山釣水 채산조수 [1] file 귀담 2015.08.20 29847
426 ★★★ 음악소스용어와 음악주소찾기- 음악주소만들기 [1] 귀담 2013.02.17 23229
425 墨法辨 - 추사 김정희 [2] [1] 귀담 2016.02.23 21332
424 서산대사의 名詩 [14] file 귀담 2015.02.22 17947
423 시진평 주석이 선물한 서예작품 [7] file 귀담 2013.06.28 16419
422 와이료 [4] file 전영숙(33) 2014.12.29 16380
421 신춘 揮毫 -- 草書 file 귀담 2017.01.11 16146
420 삶과 죽음 [1] --- 빈센트 반 고흐 [2] file 귀담 2013.08.25 15380
419 남강문학회 [2] file 전영숙(33) 2015.12.20 14860
418 손자손녀 이름 짓기 [13] [1] file 귀담 2013.07.14 14186
417 싱그러운 시골풍경 / 전영숙(33) [8] file 귀담 2013.07.18 13764
416 한글 판본체(고체)공부자료 [4] file 정일헌 2015.06.03 12583
415 붓 관리와 먹물 사용요령 정일헌 2015.05.08 12018
414 판본체 고체 쓰기 연습 : 용비어천가 file 귀담 2013.03.06 11008
413 朱熹의 四季詩 [2] file 귀담 2016.11.09 10843
412 구성궁예천명 기초획 [5] file 정일헌 2015.05.09 10749
411 일본 방사능 오염 이야기 [20] 귀담 2013.07.31 10578
410 정감록 (鄭 鑑 錄 )은 북한의 패망을 예언 하나? [3] file 귀담 2014.03.27 10183
409 집자성교서 集字聖敎序 [1] file 귀담 2013.08.24 10182
408 피천득의 명시 <지금 이 순간> [1] 목향 2014.07.25 10076
407 싸가지 없이~~~~ [2] file 귀담 2013.09.23 10038
406 소동파의 적벽부 (赤壁賦 ) [ 1 ] [2] file 귀담 2013.06.21 9828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