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015년 새해를 맞으며

2014.12.31 20:33

목향 Views:3718

사소함에서 보석찾기

-2015년을 맞으며

 

정 목 일

 

새해 아침을 맞곤 하지만, 인간은 하루살이에 불과하다. 하루가 모여서 일 년이 지나가는 데 불과하다. 새해의 해가 뜨고 지는 게 아니라, 하루의 해가 뜨고 지는 것이다. 새해 아침의 해돋이를 보고서 일 년의 명세와 다짐을 할 게 아니라, 아침마다 하루를 어떻게 온전히 의미의 삶으로 장식할 것인지 다짐해야 한다. .

해돋이를 볼 때처럼 가슴에 전율을 느끼며 하루를 시작하고, 지는 해처럼 장엄하게 하루를 장식하여야 한다. 인간은 하루씩을 살아가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

 

수필을 쓰면서 느낀 것은 사소함이다. 누구나 화려하고 빛나고 위대한 인생을 살길 바라지만 나의 하루는 대개 평범함, 보통, 사소함 속에 있었다. 언제나 기적, 성대. 위대. 화려, 황홀을 꿈꾸었지만 그런 일이 뜻밖에 눈앞에 다가오지 않았다. 한 걸음씩 한 걸음씩 다가가서 자신의 가슴으로 안으려 하지 않고, 언젠가 신이 나에게 성공과 기적의 꽃다발을 안겨줄 것으로 생각하고 은근히 기다리고 있었지 않았는가. 자신의 땀과 노력으로 얻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막연한 행운과 기대만으로 세월을 보낸 시간 낭비자가 아니었던가.

평범한 삶으로 빚어내는 일상은 초라해 보인다. 따분하고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빛나고 흥미로운 인생이길 바라지만, 하루의 삶은 대부분 사소하고 평범함 속에 지나가고 만다. 이런 삶을 보고서 짜증을 내기도 한다. 고대하던 기적과 특별함이 눈앞에 얼씬거리지도 않음을 느끼면서 무력감에 빠져들기도 한다.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하루’ ‘일 년에 대한 분석력과 삶에 대한 해석력을 터득해 가는 과정이 아닐까 한다. 아무리 기다려도 신이 행운의 꽃다발을 나에게 안겨주지 않는다는 것을 점차 깨닫게 된다. ,기적, 축복이런 것들은 신의 하사품이 아니라는 것, 오로지 자신의 땀과 성실로써만 이룰 수 있는 노력의 대가라는 것을 터득하게 된다.

비범함, 특별, 기적보다는 일상의 평범함, 무변화가 행복을 이루는 요소임을 알게 된다. 병원의 환자 신세가 돼보아야 건강이 얼마나 행복함의 원천인 줄 알게 된다.

 

수필은 빛나거나 화려하지 않지만 정갈하고 정답다. 인간은 일회성 일과성에 불과한 존재이다. 인간이 얻은 그 어떤 것들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만다. 인간의 유일한 영원장치는 기록뿐이다. 수필쓰기는 자신 삶의 발견과 깨달음을 꽃 피워내는 영원 작업이 아닐 수 없다. 나이가 들수록 수필을 쓰는 일이 예사롭게 여겨지지 않는다.

 

수필은 삶의 온정과 그리움을 안겨준다. 수필쓰기가 인생에 대한 깨달음의 길임을 알려준다. 자신이 행복해야 타인에게도 행복감을 줄 수 있다. 마음에 평화, 얼굴에 미소, 육체에 건강이 있길 노력하고 싶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225 陳一郎老師의 蘭亭序 [1] 귀담 2015.06.21 4468
224 스위시 연습 [3] -- 호박꽃 [3] file 귀담 2015.04.12 4465
223 연꽃 밭에서 [4] file 목향 2015.09.06 4463
222 제 21회 중재서회전 안내 및 작품보기 [2] 정일헌 2015.06.20 4438
221 이정수 선배님 수상 소식 [1] file 조현재 2015.11.09 4418
220 박꽃 [3] 목향 2015.10.01 4370
219 녹차의 참맛 [1] file 목향 2014.04.26 4365
218 “한국의 인터넷 사용률은 82.7% [2] 전영숙(33) 2014.03.21 4365
217 7월의 찬가 [3] 목향 2014.07.07 4350
216 아름다운 우리 한글 [3] file 귀담 2014.10.12 4334
215 지금 이 순간 [1] 목향 2014.04.07 4321
214 진인사대천명 [2] file 귀담 2017.05.12 4318
213 미인도의 화가 [1] 목향 2014.07.27 4311
212 인생 싱크홀 [4] 전영숙(33) 2015.04.19 4310
211 문둥 북춤 [1] 목향 2015.06.22 4307
210 손의 표정 [5] 목향 2015.02.07 4295
209 나비효과 [6] file 목향 2015.04.16 4258
208 [送詩] : 세월이여 [5] file 귀담 2014.12.24 4232
207 동문님 새해 건강하십시요 [2] 전영숙(33) 2014.12.31 4224
206 달항아리 [1] 목향 2014.05.18 4224
205 막걸리의 힘 [2] 목향 2014.08.10 4223
204 오늘은 촉석묵필방 경사의 날 [4] 귀담 2015.05.08 4219
203 목월의 <나그네>와 지훈의 <완화삼> [2] file 귀담 2015.03.24 4218
202 초록 잉크 [2] 목향 2014.04.04 4207
201 Swish 연습 [4] -- 콤짱의 봄나들이 [4] file 귀담 2015.04.12 4163
200 진주도립병원과 고향집 [10] file 목향 2015.03.14 4157
199 산 하나 강 하나 [4] 목향 2014.07.28 4141
198 금귀(金龜)를 팔아 술을 마신 시인들 [1] [1] 귀담 2014.11.16 4133
197 폭포 [3] 전영숙(33) 2015.07.03 4114
196 智永 天字文 쓰기 [1] 귀담 2014.11.29 4110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