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바람

2014.12.19 17:32

목향 Views:3648

바람

 

              정 목 일

                

항상 자유다.

상하 좌우 어떤 속박이나 구속에도 얽매이지 않는다.

시대, 역사, 전통, 윤리 그 어떤 제약 도 받지 않는다.

간섭받지 않는다. 장소라든지 시간 같은 것에도 구애받지 않는다.

시공을 초월한다.

형식이나 격식이라는 게 무엇이냐.

누가, 무엇이 얽매이게 하려 하며, 무엇에로 종속시키려 든단 말인가.

모두 상관없는 일이다. 어떤 장벽도 상관없다.

자유로울 뿐이다. 마음 내키는 대로 거닐고 달리고 부르짖고 잠든다.

 

사라지지 않는 생명이다.

죽은 것같이 딱딱한 나뭇가지에 움을 틔우는 것.

얼어붙었던 강물을 풀어 놓은 것이 누군가, 무엇이 폐쇄의 문을 잠그고 뒤로 돌아앉아 있는가.

어떤 문이든 어떤 어둠이든 그의 진로를 막아설 수 있는가.

생명을 가진 뭇생물들은 항시 그의 곁을 떠날 수 없다.

생명을 불어넣고, 숨쉬게 만든다.

 

황제이다.

형체도 부피도 보이지 않는 은밀한 이 다스림.

보이지 않으나 가장 가까이 피부에 느껴지는 뚜렷한 실체.

조금의 틈과 굴헝과 여백도 남기지 않고 욕심을 채우는 정복자이다.

어느 누구든 그의 손길 아래. 지배아래 들지 않으려 반역하는 자, 있을 수 있는가.

 

무한한 생각이다.

그 생각이 펼쳐내는 언어이다.

생각의 뿌리, 말의 근원이면서 생각 을 키우고 언어를 빚는 속삭임이다.

철따라 계절을 새로운 생각과 언어로 불어넣고 말을 키우게 한다.

누가 깃발의 상징과 의미에다 영혼을 불어넣어 펄럭이게 하는가.

구름, 또한 바람의 말을 받지 않고는 무슨 의미를 가질 수 있으랴.

바람이 와서 아무도 모르게 내는 풍경소리처럼

사람에게도 생각의 파문을 일으키는 건 바람의 음성 때문이 아닌지 모른다.

꽃내음의 속삭임, 씨앗을 흩날리는 바람의 파종, 날리는 낙엽의 여운.

이런 것들이 바람의 언어가 아니고 무엇이랴.

시인들의 많이 사용하는 시어중에 '바람'이 자리잡고 있다.

실은 바람은 한낱 시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 그 자체를 탄생시키는 언어의 뿌리가 아닌지 모를 일이다.

 

보이지 않게 귀에 와 속삭인다.

, 보지 못하는가…….

얼어붙었던 개울물의 쇠사슬을 풀어놓고,

관목에게 움을 트게 하고, 꾀꼬리와 종달새를 불 러온다.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한다.

과거라는 낱말을 알지 못한다. 현재에서 미래로 흐르고 있을 뿐이다.

언제나 현재 진행형 이다.

늘 새로운 것이 아니고는 마음이 차지 않는다.

무엇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항상 새로 운 것을 창조하기 위해, 남아 있는 것은 무엇이건 날려 버린다.

없애 버린다. 새로운 것이 아니면 짜증이 나서 못 견딘다.

천의 얼굴, 만의 모습을 가졌다. 변화 무쌍하다. 종횡 무진이다. 신출 귀몰이다.

 

어디든 막힘이 없고 거침이 없다.

나비를 태워 가는 살랑바람, 꽃내를 실어보내는 바람의 미소는 연인의 체취처럼 감미롭다.

뇌성을 때리며 장대 같은 비를 휘몰고 돌진하는 폭풍우의 위용은 참으로 늠름하고 남자답다.

날려 버려라, 때려 없애 버려라.

아기의 머리카락을 간지럽히는 손길이다가, 꽃술에 입맞추는 연정이다가도,

금시에 바다를 뒤집어 버리는 야수의 허연 이빨로 변한다.

믿을 수 없다. 생각은 시시각각으로 변한다. 싱싱한 파도이다. 출렁이고 있다. 어디든지 가 닿고 있다.

대륙이나, 바다나, 산악이나, 하늘이나, 어디든지 통하고 있다.

헤아릴 수 없는 깊이이다. 어디로 갈까? 떠나야만 한다. 흘러가야만 한다.

머리가 무거우면 바람 쐬러 바깥으로 나간다.

 

바람 속에 서노라면, 마음이 평온해지고 온유해진다.

모든 의식, 관념 같은 게 바람 앞에선 무엇인가.

그것은 일종의 지나가는 바람 같은 게 아닌가.

인생이란 한낱 바람에 흩날리는 먼지처럼 생각되어진다.

내 영혼은 언제나 떠돌이, 한 자락 바람이 되어 흐르며, 항상 바람 속에 떠돌고 있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225 陳一郎老師의 蘭亭序 [1] 귀담 2015.06.21 4468
224 스위시 연습 [3] -- 호박꽃 [3] file 귀담 2015.04.12 4465
223 연꽃 밭에서 [4] file 목향 2015.09.06 4463
222 제 21회 중재서회전 안내 및 작품보기 [2] 정일헌 2015.06.20 4438
221 이정수 선배님 수상 소식 [1] file 조현재 2015.11.09 4418
220 박꽃 [3] 목향 2015.10.01 4370
219 녹차의 참맛 [1] file 목향 2014.04.26 4365
218 “한국의 인터넷 사용률은 82.7% [2] 전영숙(33) 2014.03.21 4365
217 7월의 찬가 [3] 목향 2014.07.07 4350
216 아름다운 우리 한글 [3] file 귀담 2014.10.12 4334
215 지금 이 순간 [1] 목향 2014.04.07 4321
214 진인사대천명 [2] file 귀담 2017.05.12 4318
213 미인도의 화가 [1] 목향 2014.07.27 4311
212 인생 싱크홀 [4] 전영숙(33) 2015.04.19 4310
211 문둥 북춤 [1] 목향 2015.06.22 4307
210 손의 표정 [5] 목향 2015.02.07 4295
209 나비효과 [6] file 목향 2015.04.16 4272
208 [送詩] : 세월이여 [5] file 귀담 2014.12.24 4232
207 동문님 새해 건강하십시요 [2] 전영숙(33) 2014.12.31 4224
206 달항아리 [1] 목향 2014.05.18 4224
205 막걸리의 힘 [2] 목향 2014.08.10 4223
204 오늘은 촉석묵필방 경사의 날 [4] 귀담 2015.05.08 4219
203 목월의 <나그네>와 지훈의 <완화삼> [2] file 귀담 2015.03.24 4218
202 초록 잉크 [2] 목향 2014.04.04 4207
201 Swish 연습 [4] -- 콤짱의 봄나들이 [4] file 귀담 2015.04.12 4163
200 진주도립병원과 고향집 [10] file 목향 2015.03.14 4157
199 산 하나 강 하나 [4] 목향 2014.07.28 4141
198 금귀(金龜)를 팔아 술을 마신 시인들 [1] [1] 귀담 2014.11.16 4133
197 폭포 [3] 전영숙(33) 2015.07.03 4114
196 智永 天字文 쓰기 [1] 귀담 2014.11.29 4110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