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草書 배우기

2015.12.11 01:25

귀담 Views:3651

처음 초서를 공부할 때는 막막하였다.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세월이 흘러 이젠 초서가 눈에 들어온다.

초서는 엄격한 규칙이 있다.

그 규칙에 따라 한획이라도 어긋나면 글자가 되지 못한다,



IMG_5878.jpg


초서학습은  17첩, 書譜, 초천자문, 초결가 등으로 공부하는 것이 유일하다.

초서를 읽는 사람이 더물다. 그러면서도 초서체를 보면 아는체 한다.

참 이상한 현상이다. 초서체를 읽어내려면 <초서의 이부동형>을 이해해야 한다.

草書의 異部同形이란

부수는 초서의 조직에 따라야 하고, 主部首는 동일 부위에서 색다른 모양을 해서는 안된다.

주부수는 정확해야한다.

초서가 서예의 꽃이라 불리움은 이상의 엄격한 규칙하에서 쓰여지기 때문이다.

나는 오랜 시간을 허비하며 돌고 돌아 길을 찿아 갔지만

이제 생각하니 지름길이 있을 것만 같다.


草書는 매우 생략된 書體로 근사한 글자가 많다.

실제로 "弓, 牙, 耳, 系,京, 西, 骨, 車 " 등을 초서로 쓸때는

모두 한 자로 같이 쓴다. 즉 大表部號 한 자로 통일된다.


초서의 < 省略法> 에는 " 剛削筆劃" 과 "簡略圓析" 있다.

<강삭필획>은 획수를 빼내는 것이고,  <간략원석>은 이부동형에

해당하는 것이다.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345 구성궁예천명 - 九成宮醴泉銘 [5] file 귀담 2016.01.22 5213
344 해서(楷書) [11] file 귀담 2016.01.19 2389
343 개미 호박 보석 file 목향 2016.01.18 1203
342 김밥 한 줄 file 목향 2016.01.15 1162
341 필법십문(筆法十門 )에 대하여 [1] file 귀담 2016.01.12 1881
340 山査나무 외 1편 file 귀담 2016.01.09 1113
339 백수의 길 [5] 귀담 2016.01.07 2422
338 겨울 산을 보며 [3] file 목향 2016.01.05 2401
337 젊은 그날 [3] file 귀담 2016.01.04 2121
336 안개의 집 [2] 귀담 2016.01.03 1986
335 화분 깨진 꽃나무 file 귀담 2015.12.31 1139
334 호태왕비체 [1] file 귀담 2015.12.30 5978
333 서법강좌 -- 田英章(中國) 귀담 2015.12.28 3182
332 활어 file 귀담 2015.12.28 1095
331 겨울숲 귀담 2015.12.24 1072
330 비오는 날 귀담 2015.12.24 1143
329 詩魔 귀담 2015.12.21 955
328 산책 (散策) [4] 귀담 2015.12.20 2944
327 남강문학회 [2] file 전영숙(33) 2015.12.20 14860
326 갈대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 [1] 귀담 2015.12.19 4801
325 겨울밤 [2] 귀담 2015.12.19 3011
324 추사의 歲寒圖 file 귀담 2015.12.17 1406
323 나무가 나에게 말을 거는 저녁 [2] 귀담 2015.12.16 2530
322 낮 꿈== [3] 귀담 2015.12.15 2528
321 四季에 흐르는 물소리 [2] file 귀담 2015.12.13 2351
» 草書 배우기 [3] file 귀담 2015.12.11 3651
319 손자손녀 이름 짓기 [8] 귀담 2015.11.29 3595
318 문인의 길 [2] 목향 2015.11.23 3271
317 12월의 편지 [1] 목향 2015.11.20 3052
316 결혼폐백에 대하여 [3] file 귀담 2015.11.15 2905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