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3.13 18:15
난초 향기
鄭 木 日
몇 해 전에 한 문우로부터 난초 한 뿌리를 선물 받은 일이 있다.
등기 우편물이 와서 펼쳐보니 뜻밖에도 난초가 들어있었다. 화분에 심은 난초를 선물로 받아보긴 하였어도 등기 우편으로 받긴 처음이었다. 동봉한 편지를 읽어보았다. 그는 불현듯 난초를 보내고 싶어서 이런 방법을 택하였다고 했다.
편지글을 읽고 나니 마음속에서 난향이 풍기는 듯했다. 그는 지란지교(芝蘭之交)를 원했는지 모른다. 난초꽃이 피면 그를 초대하여 술을 마신다면 얼마나 운치가 있을 것인가. 달빛과 난향 속에서 차와 술을 마시는 모습을 그려보았다.
이 난을 살려서 잘 키워내야 한다는 임무가 부여되고 있음을 알았다. 난 재배의 경험이 없는 나로선 부담이기도 했다. 난초 전문점으로 가서 화분에 심어 안고 왔다. 희귀한 난을 보낸 것은 예사의 성의가 아니라는 말을 들었다.
정성이 부족했음인가. 한 달이 채 안 돼 난초 잎이 윤기를 잃기 시작했다. 난 전문점에 가서 영양제를 주입하였지만 끝내 시들어버리고 말았다. 난초를 살려 놓고서 난을 보내준 문우에게 답장을 쓰리라 생각했는데, 할 말을 잃게 되었다. 난초를 죽이고 말았다는 잔인한 말을 어찌 쓸 수가 있단 말인가.
답장을 보내지 못하고 몇 년이 지나갔다. 아무리 귀한 보배라고 할지라도 이것을 담을 수 있는 그릇이 있어야 한다. 난을 키울 수 있는 마음의 그릇이 나에겐 없었다. 세월이 지나도 난을 보내 준 문우는 나에게 묻고 있지 않을까.
‘난이 잘 자라고 있는가?’
난초를 기를 수 있는 마음의 준비가 돼 있지 않음을 알았다. 마음의 여유가 없음을 애석하게 생각하였다. 난을 보내온 벗은 소식도 없는 나를 생각하며 얼마나 야속해 할까. 아예 난초도 기를 줄 모르는 사람으로 짐작하고서 잊어버리고 있지 않을까.
중·고교 시절, 내 방문 앞 벽에는 ‘난향십리(蘭香十里)’란 현판이 붙어 있었다. 난초꽃의 향기가 십리까지 뻗힌다는 말이다. 이 현판 글씨를 보며, ‘난초꽃이 향기롭다 한들 십리까지야 뻗힐 리가 있으랴?’하는 생각을 하곤 했다. 그러나 5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그 향기가 은은히 내 마음 속에 풍겨오고 있음을 느낀다. ‘난향십리’란 그냥 거리를 말하는 게 아니란 걸 알고 있다. 마음의 향기여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마음속에 흐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제는 누가 우편으로 귀한 난초를 보낼 사람이 있을 것인가. 그 난초를 살려내어 꽃피워 내지 못한 일을 두고두고 애석하게 여긴다. 난초와 가까이 대화할 수 있는 인생 경지가 되지 못한 자신을 탓하고 있을 뿐이다.
나도 언젠가 마음속에 난초꽃을 피워서 맑은 향기를 멀리 벗에게 보내고 싶다.
2014.03.14 04:55
2014.03.14 19:23
서예를 하다보면 힘차게 붓을 뻗히고 싶을 때가 있답니다.
이럴 때는 蘭잎을 그립니다.
右蘭 30年 左蘭 30年.
유명한 대원군의 난치는 모습입니다.
평생을 난 만 치다가 60年 세월이 간다는
平生之道를 뜻합니다.
蘭香千里 - 墨香 萬里
난 잎 한 잎에 데롱~데롱 맺힌 이슬 방울~~
그대 눈동자 닮은 빛나는 미소!
그리운 그대 찿아 동쪽으로 한 잎.
사랑하는 그대 찿아 서쪽으로 한 잎.
右蘭 한 잎 치고, 左蘭 한 잎 치면
그대 눈동자 "파봉안"이 빛나네.
내 마음의 향기를 품어 주네.
난초잎 싹이 올라오는 아랫기둥은 "첨두"라고 한다
.난초 줄기대는 "정두"라고 칭하며
.잎이 시작되는 넓은 잎부분을 "돈"으로 부른다
.잎이 꼬여진 좁은 잎은 "제"라 한다
.다시 넓어진 난잎은 "당왕수"라고 칭한다
.난잎 맨끝부분은 "서미"이다
.난줄기 아래부분의 빈공간은 "파봉안"이며
.난잎 상단 사이 공간을 "봉안"이라 한다
.난잎 숫자에 따라 "1엽~2엽~3엽"으로 부른다.
난초 잎은 세번 꼬여도 반듯함과 기개를 잃지 않는다하여
선비정신을 표상한답니다.
三傳之妙라 하지요.
2014.03.16 12:45
__ 蘭 구경 싫컷 하세요 __
우리동문회 초창기에 蘭을 나누어 준 일이 있다.
지금 추억해 보면 참 우습다.
지금 회장을 맡고 있는 서균덕동문이 난 보급에 앞장 선 사람이다.
나도 귀한 동양란을 분양 받아 청자 花盆도 사서 키워 보았는데
얼싸 얼마 안가 고사하고 말았다.
그 후 아무 말도 안하고 다른 동문들 눈치만 보았는데
지금껏 누구도 란 죽였다는 소문을 들은 적이 없다.
동양란 키우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
나는 몇년전에 서양란을 선물 받았는데 해마다 꽃이 풍성하게 열린다.
란꽃이 필 때마다 그 후배가 생각난다.
올해도 꽃대롱을 밀어 올려 분홍꽃을 피웠다.
2014.03.17 16:15
내가 멋지게 키우는 蘭 두 그루.
No. | Subject | Author | Date | Views |
---|---|---|---|---|
135 | 초록 잉크 [2] | 목향 | 2014.04.04 | 4209 |
134 | 춘래성(春來聲) [2] | 귀담 | 2014.04.03 | 4508 |
133 | 정감록 (鄭 鑑 錄 )은 북한의 패망을 예언 하나? [3] | 귀담 | 2014.03.27 | 10199 |
132 | 휴대전화로 할수있는 51가지 작업들 [3] | 전영숙(33) | 2014.03.24 | 9665 |
131 | 편지 : 친구의 노년 편지를 받고 [3] | 귀담 | 2014.03.21 | 4778 |
130 | “한국의 인터넷 사용률은 82.7% [2] | 전영숙(33) | 2014.03.21 | 4367 |
129 | 귀전 원거 [1] | 귀담 | 2014.03.21 | 5351 |
128 | 세기의 대결 : 10변기 2국 [4] | 귀담 | 2014.03.16 | 5109 |
127 | 오류선생전 / 도연명 (陶淵明) | 귀담 | 2014.03.16 | 3607 |
» | 난초 향기 [4] | 목향 | 2014.03.13 | 6376 |
125 | 왕의 이름 [1] | 귀담 | 2014.03.11 | 4724 |
124 | 역사공부 : 계유정란 [4] | 귀담 | 2014.03.04 | 5371 |
123 | 희망 !..처세 약대몽(處世若大夢) [1] | 귀담 | 2014.02.27 | 4923 |
122 | 수양버들 [6] | 목향 | 2014.02.24 | 5606 |
121 | 이백의 월하독작을 한역함 | 귀담 | 2014.02.22 | 4904 |
120 | 절차탁마 대기만성 [1] | 귀담 | 2014.02.16 | 6862 |
119 | 면앙정잡가 [1] | 귀담 | 2014.02.09 | 5836 |
118 | 무수 무량 [3] | 목향 | 2014.02.07 | 4996 |
117 | 한글 궁체 연습 | 귀담 | 2014.02.02 | 3955 |
116 | 안녕! 하십니까. [2] | 귀담 | 2014.02.02 | 5917 |
115 | 도연명의 잡시 한 편 쓰다 [1] | 귀담 | 2014.02.02 | 6710 |
114 | 세기의 대결 10번기 [2] | 귀담 | 2014.01.30 | 6204 |
113 | 실사구시 實事求是 [1] | 귀담 | 2014.01.26 | 5924 |
112 | 심심할 때 두는 바둑 [2] | 귀담 | 2014.01.16 | 5897 |
111 | 한방에 끝내는 한자부수 [2] | 귀담 | 2014.01.12 | 6638 |
110 | [ 永 ] 字 8법 쓰기 | 귀담 | 2014.01.09 | 2980 |
109 | 판본체 [ ㅅ ] 과 [ ㅇ ] 필법 [2] | 귀담 | 2014.01.05 | 6621 |
108 | 한글 기초 --- 원필과 방필 | 귀담 | 2014.01.05 | 6650 |
107 | 나훈아 - 청춘을 돌려다오 | 귀담 | 2014.01.03 | 2899 |
106 | 인생은 나그네 길 | 귀담 | 2014.01.03 | 2688 |
수석과 난키우는 취미를 가진 이웃을 둔 덕분에 한국 다녀오는 와이프 에게 부탁하여 춘란 두그루를
몰래 가져와서 키웠습니다. 그런데 이 녀석들이 겨울을 방안에서만 지내서 그런지 시들 시들 합니다.
영양제를 주고 물도 걸러서 주고 했는데도 별로 기력을 회복하지못하는 것같아서 전문가에게
문의했더니 한국의 풍토에서 자생하던 춘란은 그러하다는데... 결국 풍토병 이랍니다.
근데 책을 보니 난은 30%만 뿌리에서 양분을 섭취하고 나머지 70%는 공기와 바람과 습도에서
양분을 받아드린다고 하니 그럴 것도 같습니다. 선배님의 글 고맙게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