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왕의 이름

2014.03.11 17:15

귀담 Views:4724

임금에게는  대개 세 가지 호칭이 있다.

첫 번째 호칭은 초휘(初諱)를 비롯해 호(號)와 자(子)가 있다.

         태조 이성계의 초휘는 성계(成桂), 호는 송헌(松軒), 자는 중결(仲潔)이다.

두 번째의 호칭은 경사스러운 때나 죽으면 올려지는 시호(諡號)

         세종대왕의 시호 : 英文叡武仁聖明孝大王

         또한 명나라 황제가 <장헌(莊憲)>이라는 시호를 지어 보냈으므로

          세종대왕의 실록을  세종장헌대왕실록(世宗莊憲大王實錄)이라 부른다.

세 번째 호칭은  묘호(廟號)이다.

          종묘에 봉안하게 될 위패에 새기기 위해 죽은 다음에 올려지는 호칭이다.

           우리가 역사에서 익혀 아는 태조, 태종, 세종, 세조,단종, 성종, 인조,.... 등등이다.


           여기에 붙여지는 종(宗)조(祖)는 어떻게 붙여질까?

         

            有功曰祖: 유공왈조 : 功이 있는 임금은 祖

            有德曰宗: 유덕왈조 : 德이 있는 임금은 宗




)


폐위된 임금은 군으로 부른다. 광해군, 연산군이 있다.


이러한 묘효를 정하는 기준은  황조실(皇祖室)의 책호문에 실려 있다.

"功이 있는이는 조(祖)로 하고, 덕(德)이 있는 이는 종(宗)으로 하니,....."



No. Subject Author Date Views
255 테스터 [7] 전영숙(33) 2015.03.31 4963
254 秋日偶成 추일우성 [3] file 귀담 2015.09.22 4942
253 영화 <국제시장: Ode To My Father> [5] file 귀담 2015.01.11 4936
252 그냥 그렇게 [2] file 귀담 2015.06.21 4921
251 희망 !..처세 약대몽(處世若大夢) [1] file 귀담 2014.02.27 4920
250 童蒙先習 -- 붕우유신 [5] file 귀담 2015.01.01 4916
249 가을 초입에 쓴 붓글 [7] file 귀담 2014.10.18 4908
248 귀담한시첩 [ 2 ] [1] file 귀담 2014.11.27 4904
247 이백의 월하독작을 한역함 file 귀담 2014.02.22 4902
246 시집가는 딸에게 [1] file 귀담 2015.08.26 4883
245 마지막 농사 [4] file 목향 2015.07.26 4817
244 갈대는 울어도 눈물이 없다 [1] 귀담 2015.12.19 4801
243 남국의 파라다이스 / 거제 외도 [1] 귀담 2014.05.08 4796
242 턱을 고이고 [3] 귀담 2014.06.29 4783
241 바둑과 인생 [3] file 귀담 2014.08.30 4778
240 가을에 읽는 글 : 추성부(秋聲賦) [1] 귀담 2014.10.07 4771
239 편지 : 친구의 노년 편지를 받고 [3] file 귀담 2014.03.21 4769
238 독서유감 (讀書有感) [2] file 귀담 2015.02.04 4730
» 왕의 이름 [1] 귀담 2014.03.11 4724
236 두물머리 [4] file 목향 2015.08.15 4717
235 바둑과 막걸리 [3] 목향 2014.08.18 4678
234 중재 신윤구 선생에 관하여 [4] file 귀담 2015.05.09 4676
233 나팔꽃 여름 창가 [5] file 귀담 2015.08.10 4664
232 鳶飛魚躍 연비어약 [5] file 귀담 2015.03.04 4592
231 롱아일랜드 시티에서 [2] file 귀담 2015.09.01 4585
230 동몽선습 (童蒙先習) [4] 귀담 2014.12.07 4542
229 진주 중.고 교가 [1] 전영숙(33) 2014.07.07 4542
228 겨울마을 사람들 [1] file 귀담 2014.12.31 4526
227 춘래성(春來聲) [2] file 귀담 2014.04.03 4506
226 능선의 미 [1] 목향 2015.08.28 4472
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