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2.24 17:06
수양버들
鄭 木 日
홀로 가야금을 뜯고 있다.
맑은 진양조(調) 가락이 흐른다. 섬섬옥수가 그리움의 농현(弄絃)으로 떨고 있나보다. 덩기 둥, 덩기 둥…. 숨죽인 고요 속에 번져 나간 가락은 가지마다 움이 되어 파릇파릇 피어나고 있다. 움들이 터져서 환희의 휘몰이가락으로 넘쳐난다.
촛불은 바람도 없이 파르르 떨고 있다. 촛불이 되어 고개를 숙이고 서 있는 수양버들 한 그루…. 이제 싹을 틔우리라. 촛불이 바람에 펄럭이면서 떨어뜨린 촛농들이 움이 되어 맺혀있다. 움들은 꿈의 푸른 궁전이다.
수양버들은 깊은 밤에 잠들지 못하고 한 땀씩 수(繡)를 놓고 있다. 바늘귀로 임의 얼굴을 보며, 오색실로 사랑을 물들인다. 모든 나무들이 태양을 향해 팔을 벌리지만 수양버들만은 임을 맞으려 땅 아래로 팔을 벌린다.
부끄러워서일까. 두근거리는 마음을 보이지 않으려는 듯 방문 앞에 주렴을 드려 놓았다. 초록 물이 뚝뚝 떨어질 듯하다. 축축 늘어뜨린 실가지가 오선지 인양, 그 위에 방울방울 찍어 놓은 음표(音標)에선 봄의 교향악이 흐른다.
수양버들은 목마른 지각을 뚫고 솟아오른 분수이다.
오랜 침묵에서 말들이 터져 나와 뿜어 오른다. 죽음을 뚫고 소생한 빛의 승천이다. 섬세하고 부드러운 손길…. 닿기만 하면 굳게 닫혔던 마음이 열리고 막혔던 말들이 꽃을 피우리라.
누가 보낸 것일까. 먼 데서 온 육필 편지이다.
봄이 왔음을 알려주는 깨알 같은 글씨…. 방금 움에서 피어난 언어. 눈동자 속에 파란 하늘이 보이고 따스한 체온이 느껴진다. 마음이 먼저 임에게로 달려가고 있다.
수양버들은 목욕하고 난 열 여섯 살 소녀이다.
긴 머릿결에 자르르 윤기가 흐르고 머리카락 올올 마다 봄의 촉감이 느껴진다. 실비단보다 부드럽게 치렁치렁 휘날리는 머릿결에서 사랑의 향기가 풍긴다.
출렁출렁 뻗어 내린 실가지가 물가에 닿을 듯하다. 물에 내려와 헤엄치는 오리를 보고 있다.
바람은 물 주름을 일으키며 지나고 개울둑에선 아지랑이가 아물아물 피어오른다. 한가로운 초록빛 평화…. 오리와 물과 바람의 말이 햇살에 반짝인다.
집을 지으면 창밖에 수양버들을 심고 싶다.
봄이면 톡톡 노크하며 얼굴을 내밀 때, 창을 활짝 열어 포옹하고 싶다. 이제 막 터져 나온 꿈 빛 목소리…. 은밀하고도 숨 막히는 속삭임, 터질듯 부풀어 오르는 가슴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싶다.
봄이면 수양버들이고 싶다.
2014.02.27 19:58
2014.03.12 02:27
정목일교수!
손자.손녀 우리홈피에도 올리시게
어때.... 친구 손자인데...참잘생긴놈이네 ㅎㅎㅎㅎ
귀담후배는 모르는기 없소
정교수와 대화모습 너무 너무 좋습니다
귀담의 글솜씨 탐복합니다
서로의 영역은 조금다른것 같으면서도
귀담은 글읽기에 편하게 쓰니 참조~습니다
2014.03.12 17:10
오늘 뉴욕은 봄비가 내리는데, 밤에는 눈으로 바뀐답니다.
콤짱선배님! 늘 건강하시고, 자주 뵈오니 참 좋습니다.
요즘 멋진 새 싸이트 만드시느라 노고가 많습니다. 화이팅!
퇴근길에 들은 이승훈의 < 비오는거리> 너무 좋아
띄워드립니다.
2014.03.19 17:14
어릴 때 나의 고향 마을은 250여가구의 비교적 큰마을인데,
어떤집은 버드나무가 많이 우거져
여름철엔 버드나무숲으로 둘러 쌓였다.
큰 들판을 가로지르는 한길가엔 버드나무가 행렬하듯이 줄줄이 서 있었는데,
어릴 때라 버드나무가 왜 한길가에 줄을 서 있고,
집 주위로 둘러 싸여 있는지 좀 의문이 생기곤 햇다.
많은 세월이 흘러 버드나무의 의미를 파악하게 되었을 때
나는 자꾸만 유년시절이 생각나곤 한다.
물론 정절선생이 자기집 둘레에 다섯 그루 버드나무를 심어 놓고,
자칭 오류선생이라 한 것도 알아 내었지만,
그 보다 엄청 먼 옛날 단군조선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버드나무의 참 역사적 의미를 찿아낼 수 있었다.
단군이 나라를 세우고 그 후에 기자라는 사람이 동쪽으로 올 때
5천여명의 은나라 사람들이 기자를 따라 왔다.
이 때 따라온 사람들 중엔 시문에 밝은 사람, 점을 잘 치는 사람들, 예능에 밝은 사람들
기타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은 사람들이 따라 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들 백성이 성격이 난폭하여 서로 싸우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이들을 부드러운 성격으로 고치기 위해
집집마다 버드나무를 심도록 하였다고 한다.
<살인자는 죽임으로 다스리고, 도덕질 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
이런 고조선법만 보아도 알 수가 있다.
그 때부터 우리민족은 버드나무를 가까이 두고 마음과 몸을 다스리게 된 것 같다.
<수양버들>의 <수양>이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우리말과 같으니 말이다.
여름철 버드나무 아래서 버들잎 사분대는 소리 들으며 낮잠 한숨 자면
얼마나 상쾌한지 모른다.
잎과 잎이 흔들리며 서로 부딪혀 나는 소리는 부채소리 같기도 하고,
먼~데서 밀려오는 파도소리 같기도 하지.
올 여름에는 멍석 깔아 놓고 버드나무 아래서 낮잠 한 숨 자고 싶다.
버드나무의 종류는 50여가지.
지방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조금씩 다르고.,
껍질이 약용으로 많이 쓰인다고 한다.
버드나무. 갯버들, 냇버들, 떡버들, 수양버들, 고리버들, 여우버들, 용버들, 산버들,
쪽버들, 능수버들, 들버들......선버들, 미루나무,쌍실버들,콩버들,꽃버들......
호랑버들, 새양버들, 큰산버들, 당버들, 콩버들......
버드나무 이름들 정말 많기도 하여라.
2014.03.20 07:06
ㅎㅎㅎㅎ
귀담님 !
나는 멍청하게
버들피리밖에 모르니
대화에 끼일수도 없고 ....
귀담님 잘봐주세요
2014.03.20 16:12
ㅎㅎㅎㅎㅎ 너무 아는체 했나요?
목향선배의 글을 따라가다보니 버드나무에 대해서
생각해 본 것입니다.
한국 도시에는 <버드나무집>이란 이름을 가진 식당들이 많드군요.
옛부터 버드나무가 식생활 운치로 자리 잡은 듯합니다. 또한 봄과 함께
버들피리 소리가 사람의 마음을 포근하고 희망차게 해 주지요.
그러니 버들피리만 맹글 줄 알아도 대단합니다.ㅎㅎㅎ
요즘은 약재로 쓰는 버드나무!
No. | Subject | Author | Date | Views |
---|---|---|---|---|
135 | 초록 잉크 [2] | 목향 | 2014.04.04 | 4209 |
134 | 춘래성(春來聲) [2] | 귀담 | 2014.04.03 | 4508 |
133 | 정감록 (鄭 鑑 錄 )은 북한의 패망을 예언 하나? [3] | 귀담 | 2014.03.27 | 10199 |
132 | 휴대전화로 할수있는 51가지 작업들 [3] | 전영숙(33) | 2014.03.24 | 9665 |
131 | 편지 : 친구의 노년 편지를 받고 [3] | 귀담 | 2014.03.21 | 4778 |
130 | “한국의 인터넷 사용률은 82.7% [2] | 전영숙(33) | 2014.03.21 | 4367 |
129 | 귀전 원거 [1] | 귀담 | 2014.03.21 | 5351 |
128 | 세기의 대결 : 10변기 2국 [4] | 귀담 | 2014.03.16 | 5109 |
127 | 오류선생전 / 도연명 (陶淵明) | 귀담 | 2014.03.16 | 3607 |
126 | 난초 향기 [4] | 목향 | 2014.03.13 | 6376 |
125 | 왕의 이름 [1] | 귀담 | 2014.03.11 | 4724 |
124 | 역사공부 : 계유정란 [4] | 귀담 | 2014.03.04 | 5371 |
123 | 희망 !..처세 약대몽(處世若大夢) [1] | 귀담 | 2014.02.27 | 4923 |
» | 수양버들 [6] | 목향 | 2014.02.24 | 5606 |
121 | 이백의 월하독작을 한역함 | 귀담 | 2014.02.22 | 4904 |
120 | 절차탁마 대기만성 [1] | 귀담 | 2014.02.16 | 6862 |
119 | 면앙정잡가 [1] | 귀담 | 2014.02.09 | 5836 |
118 | 무수 무량 [3] | 목향 | 2014.02.07 | 4996 |
117 | 한글 궁체 연습 | 귀담 | 2014.02.02 | 3955 |
116 | 안녕! 하십니까. [2] | 귀담 | 2014.02.02 | 5917 |
115 | 도연명의 잡시 한 편 쓰다 [1] | 귀담 | 2014.02.02 | 6710 |
114 | 세기의 대결 10번기 [2] | 귀담 | 2014.01.30 | 6204 |
113 | 실사구시 實事求是 [1] | 귀담 | 2014.01.26 | 5924 |
112 | 심심할 때 두는 바둑 [2] | 귀담 | 2014.01.16 | 5897 |
111 | 한방에 끝내는 한자부수 [2] | 귀담 | 2014.01.12 | 6638 |
110 | [ 永 ] 字 8법 쓰기 | 귀담 | 2014.01.09 | 2980 |
109 | 판본체 [ ㅅ ] 과 [ ㅇ ] 필법 [2] | 귀담 | 2014.01.05 | 6621 |
108 | 한글 기초 --- 원필과 방필 | 귀담 | 2014.01.05 | 6650 |
107 | 나훈아 - 청춘을 돌려다오 | 귀담 | 2014.01.03 | 2899 |
106 | 인생은 나그네 길 | 귀담 | 2014.01.03 | 2688 |
봄을 상징하는 樹木 중에서 수양버들만한 나무가 있을까.
겨울동안의 잠재된 에너지를 내뿜는 모습은 풍만한 여인의 형상 같기도 하다.
옛 중국 동진의 시인 도연명은 집 주위에 다섯그루의 버드나무를 심어 놓고
봄-자연과 소통한 시인으로 유명하다. 그는 스스로 五柳先生이라 부르고,
다섯 버드나무가 바람결에 흔들리는 모습을 바라보며 대자연을 호흡하며 살았으리라.
오늘 목향선배의 <수양버들> 글을 읽으니 왠지 오류선생이 생각난다.
도연명은 이태백보다 근 300년 이전의 시인이다. 그럼에도 이백과의 문학적인 교류가 많았고,
자연파 시인으로서의 명성은 詩仙과 詩聖의 자리를 나누어 가지고 있다.
두 사람 모두 많은 문학적인 일화를 지녔지만, 술을 좋아하고, 자연과 동화하는 모습은 비슷하다.
도연명의 소금에는 줄이 없었는데, 한 잔 거나해 지면 거문고 타는 흥취를 만끽하곤 하였다 한다.
거문고에 줄이 꼭 있어야 하나?. 줄이 없으면 더 편리하게 거문고를 뜯을 수 있다는 말이다.
수양버들이 거문고, 촛불, 솟아오르는 분수와 육필서신 등으로 이미지 되는 동안 청순한 소녀상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에서 작가의 탁월한 사념을 읽을 수 있다. 참 감동적인 좋은 글이다.
기나긴 겨울 터널을 건너 곧 우리 주위를 애워싸는 수양버들의 초록 향기 들려 오는성 싶다..
봄은 적설 속에서 이제 가쁜 숨을 몰아 쉬며 실눈을 살푸시 뜨나 보다.
머지않아 우리는 수양버들이 뜯는 별학조와 고란곡의 거문고 소리를 듣게 되나 보다.
< 뒷뜰에 겨울왕국 즐기는 손자 손녀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