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2.29 01:21
와이료 (蛙餌料)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자주 듣는 “와이료” 란 말이 있다. 그것은
잘 봐 달라고 “와이료” 를 한다는 것이다.
"어려운 일인데도 “와이료” 쓰니 해결 되더라"
”와이료“ 없이는 아무것도 안된다.” (좀 심하지만.)
그런데 이 “와이료(蛙餌料)”가 모두들 일본어투의 용어라서
버려야 된다고 하지만 순수한 우리말 해석이이란 점을 알
필요가 있다.
일본어는 회뢰(賄賂). 뇌물(賂物)을 “와이로” 또는 “아이로”
라고 발음되지만 우리나라에 “와이료”는 해학적이고 의미
깊은 뜻을 갖고 있음을 상기하자. .
♦ 한문 뜻을 보면
(와) 는 =개구리 蛙 字 이고.
(이) 는 = 먹이 餌 字 이며.[정당한 수단 아닌 먹이]
(료) 는 = 되질할 料 字 이다. [계량할 수 있는 값].
한마디로 “와이료” 는 "개구리밥의 값 " 이라고 풀이 된다.
♦ 유래를 보면
고려 때 어느 임금이 백성들의 삶을 파악하기 위해 요세 말로
민정시찰을 미복으로 갈아입은 채 잠행을 하고 있었다.
임금이 궁성에서 멀리 떨어진 시골에 도착 했을 때 날은 어둡고
배는 몹시 고파왔다. 희미한 불빛이 있어 찾아드니 찢어지게
가난한 초가에서 선비가 낭랑하게 글을 읽고 있었다.
주인을 찾은 임금이 내가 지금 몹시 시장해 무엇이든 좋으니
요기할 것을 청했다. 선비는 지금 저희 집은 너무나 가난해서
먹을 것이라곤 물 한 사발 밖에는 대접 할 것이 없습니다.
조금만 더 내려가면 주막집이 있을 터이니 오늘밤은 거기에서
유숙 하십시오. 라고 말했다.
임금이 선비 집을 막 나오려 하다보니 그 집 벽에는 이런 글이
붙어 있었다.
거사 이규보(李奎報)(1168~1241)
"有我無蛙(유아무와) 人生之恨"(인생지한).
♦ 문장의 내용인즉,
[나의 학문적 실력은 충만하나 개구리가 없는 게 내 인생의
한이로다.] 생전에 듣도 보도 못한 글귀라 임금은 무슨 뜻인지를
선비에게 물었다.
별것도 아니라며 부끄러워하는 선비를 재촉해서 이글의 뜻을
임금님은 얻어냈다.
♦ 중국 고사 우화에서
꾀꼬리와 뜸부기(까마귀 란 말도 있다)가 서로 다투는데 각각
자기 목소리가 훨씬 아름답다는 것이다. 둘만으로 서는 승부를
판가름 할 수가 없어 이웃의 황새를 심판으로 내세우고 그
결과를 3일 뒤에 듣기로 했다.
자신이 만만한 꾀꼬리는 3일 동안 기다리고만 있었고 뜸부기는
황새가 가장 좋아하는 개구리를 잡아 꾀꼬리 모르게 매일같이
바쳤다.
3일후 결과는 개구리를 뇌물(賂物)로 바친 뜸부기가 꾀꼬리 목
소리보다 더 좋다는 판정을 내리고 말았다..
이런 우화(寓話)를 자신의 처지에 비추어 “有我無蛙 人生之恨”
은 부패한 조정(朝廷)에 대한 자탄(自嘆)의 글이라고 선비가
말했다.
이야기를 모두 듣고 난 임금은 조정에서 실시하는 과거가 5일
뒤에 있다는데 그것을 아느냐? 라고 물으니 이때 선비의 대답은
내가 십년을 한결같이 옳은 답을 적어 냈으나 매번 낙방인 것은
개구리밥 즉 조정의 시험관에게 뇌물로 바칠게 없어서 그렇다는
걸 알았다. 이제는 과거를 포기 하겠노라고 말했다.
임금은 나도 시골의 별 볼일 없는 서생으로 당신보다 더한 낙방을
자주 했으나 희망을 잃지 않고 이번에 또다시 과거를 보러 올라가는
길이오. 하면서 나와 같이 한 번 더 과거에 참가하자고 졸랐다.
결국 가난한 선비는 임금에게 설득되어 과거를 치르기로 결심하고
5일후에 과거장을 갔더니 시제(試題)는 이러하였다.
= 有我無蛙 人生之恨 ! 의 뜻은 ? =
모든 유생들에게는 처음 보는 생소한 글이였으니 결과는 가난한
선비의 장원으로 귀결이 되었다. 감격해 고개를 들어 보니 5일
전에 배고파 찾아왔던 그 시골 서생이 임금님의 용상에 앉아서
미소를 짓고 있질 안는가!.......
그래서 이 가난한 선비는 어진 성군을 만나 충성스런 신하로
천수를 다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미래까지도 인간의 역사에는 변하지 않고
거듭 되는 게 있다면 바로 돈과 명예 그리고 권력을 쟁취 하고자
하는 지나친 욕망뿐이다.
이 세 가지가 얼마나 많은 죄악과 피 눈물의 회한을 남기고 있는
가 ?. 내용을 알고 보면 현대판 “와이료” 로 요약된다. 이 와이료
(蛙餌料)가 없는 세상을 우리는 만들어 가야 한다.
이렇게 되어야만 후세들에게 부끄럽지 않는 조상이 될 것은 두말
하면 잔소리다.. 이 선비가 바로 고려 명종 때 유명한 문신인 백운
거사 이규보(李奎報)(1168~1241) 이다.
콤짱ㅇㅢ 학창시절
ㅎ
학창시절
우리에게도 이렇게 좋은 시절이 있었던가.
2014.12.29 01:23
2015.01.01 04:19
아이구! 이 많은 노래 언제 다 따라 부르지.
감사합니다.
2015.01.02 17:40
이규보는 고려의 천재시인으로 많은 시작품을 남긴 시인이다.
내가 좋아하는 그의 시중에 <영정중월>( : 우물 속 달을 노래함)이란
선시가 있다.
산승이 달빛을 탐하여 山僧貪月光
병 속에 물과 함께 길어 담았네 甁汲一壺中
절에 다다르면 바야흐로 깨달으리라 到寺方應覺
병 기울이면 달빛 또한 텅 비는 것을 甁傾月亦空
‘영정중월(詠井中月)’ 곧 샘 속의 달을 노래한다는 뜻의 제목을 가진 시이다.
2014.12.29 01:24
간혹 차단된것도 있습니다
No. | Subject | Author | Date | Views |
---|---|---|---|---|
225 | 목월의 <나그네>와 지훈의 <완화삼> [2] | 귀담 | 2015.03.24 | 4218 |
224 | 논개의 가락지 [5] | 목향 | 2015.03.23 | 3933 |
223 | 가람선생의 詩魔를 쓰다 [7] | 귀담 | 2015.03.21 | 5721 |
222 | 진주도립병원과 고향집 [10] | 목향 | 2015.03.14 | 4160 |
221 | 방준재의 <鄕愁 > [7] | 귀담 | 2015.03.08 | 3586 |
220 | 아름다운 구멍 [4] | 목향 | 2015.03.06 | 4002 |
219 | 鳶飛魚躍 연비어약 [5] | 귀담 | 2015.03.04 | 4594 |
218 | 보고 자파서 죽껏다 씨펄 ! [2] | 귀담 | 2015.02.28 | 3754 |
217 | 서산대사의 名詩 [14] | 귀담 | 2015.02.22 | 17957 |
216 | 나의 시계 [6] | 귀담 | 2015.02.15 | 3883 |
215 | 손의 표정 [5] | 목향 | 2015.02.07 | 4295 |
214 | 독서유감 (讀書有感) [2] | 귀담 | 2015.02.04 | 4735 |
213 | 뉴욕의 함박눈 [5] | 귀담 | 2015.01.27 | 5861 |
212 | 굴(窟) [2] | 목향 | 2015.01.24 | 3955 |
211 | 詩: 좌골신경통 [5] | 귀담 | 2015.01.21 | 5895 |
210 | 영화 <국제시장: Ode To My Father> [5] | 귀담 | 2015.01.11 | 4941 |
209 | 우정은 커다란힘이 되어줍니다 | 전영숙(33) | 2015.01.09 | 1636 |
208 | 존재 [1] | 목향 | 2015.01.08 | 3867 |
207 | Death Velly에 가고 싶다. [5] | 귀담 | 2015.01.03 | 4993 |
206 | 새해 아침 우주관광 [5] | 귀담 | 2015.01.01 | 5535 |
205 | 童蒙先習 -- 붕우유신 [5] | 귀담 | 2015.01.01 | 4940 |
204 | 2015년 새해를 맞으며 [1] | 목향 | 2014.12.31 | 3719 |
203 | 겨울마을 사람들 [1] | 귀담 | 2014.12.31 | 4526 |
202 | 동문님 새해 건강하십시요 [2] | 전영숙(33) | 2014.12.31 | 4227 |
201 | 영혼 피리 [1] | 목향 | 2014.12.30 | 3478 |
200 | 함박눈 [2] | 목향 | 2014.12.29 | 4046 |
» | 와이료 [4] | 전영숙(33) | 2014.12.29 | 16409 |
198 | 얼굴무늬수막새 [2] | 목향 | 2014.12.28 | 4095 |
197 | [送詩] : 세월이여 [5] | 귀담 | 2014.12.24 | 4238 |
196 | 바람 [3] | 목향 | 2014.12.19 | 3655 |
♬ 가요무대 200곡 모음집 ♬
가야금병창(호남가)/강미선
가을이 오기 전에 - 안다미
갑돌이와 갑순이 -김세레나
강남달 - 정향숙
강남 멋쟁이- 문희옥
강촌에 살고 싶네 - 김혜연
강원도 아리랑 - 송소희
개나리 처녀 - 김용임
개나리 처녀 - 정향숙
경상도 청년 -김상희
고장난 벽시계 - 염수연
고향설 -백련화
고향설 -염수연
고향에 찾아와도 - 반가희
고향에 찾아와도 -임수정
고향은 내 사랑 - 김용임
고향은 내 사랑 -윙크
고향초 - 염수연
곡예사의 첫사랑 - 전미경
공항의 이병 - 문주란
꼬마인형 -최진희
꽃타령 -김세레나
꽃 - 장윤정
꽃동네 새동네 - 희승연
꽃밭에서 - 정훈희
꽃 이야기 - 문정선
꽃잎 편지 - 문연주
굳세어라 금순아 - 염수연
군밤타령 - 원미
꿈속의 고향 -조성희
꿈속의 사랑 -문주란
꿈에본 내 고향 - 임수정
꿈에 본 내 고향 -최유나
귀국선 - 문희옥
그 겨울의 찻집 -김수희
그날 - 김연숙
그리운 얼굴 - 안다미
그리움은 가슴마다/이혜리
금산 아가씨 -문희옥
기러기 아빠 - 정재은
기분파 인생 -한서경
긴 아리랑 - 양금석
나성에 가면 - 권성희
나 하나의 사랑 - 김혜연
나 하나의 사랑 -최 진희
낙엽따라가버린사랑-장윤정
날버린 남자 - 하춘화
남자는배여자는항구-이혜리
남자라는 이유로 -진 미령
낭랑18세 - 박윤경
낭랑 18세 외 -현자.정수빈
나는 열일곱살 - 박진선
내 곁에 있어 주 -이수미
내 이름은 소녀 - 조애희
내이름은소녀/지원이한수영外
내하나의사람은가고-권성희
노들강변 - 김부자
노들강면 - 송소희
노들강변,꽃타령 -김세레나
노래가락 차차차 - 장윤정
논개 - 박윤경
능금빛 순정 - 임주리
늴리리 맘보 - 이우서
늴리리 맘보 -차영주
누가 울어 -장 윤정
님 -서지오
님 그림자 -김희진
님아 -윙크
님이라 부르리까 - 김용임
단골 손님 - 이자연
단장의미아리고개/금방울자매
달타령 -김 부자
당돌한 여자 -서주경
당신 - 우연이
당신은 바보야 - 이혜리
당신은 철새 - 김부자
당신을 알고부터 - 김상희
당신의 마음 -방주연
대전 불루스 -김민정
떠나는 님아 -우연이
떠날 때는 말 없이 -현미
도로 남 - 김명애
돌지 않는 풍차 - 우연이
돌지 않는 풍차 -조성희
동반자 - 서주경
동백 아가씨 - 니은
동백 아가씨 - 염수연
동숙의 노래 - 문주란
동창생 - 문희옥
라일락 꽃 - 우연이
마포종점 - 금방울 자매
만나면 괴로워 - 서지오
만리포라 내 사랑 - 장윤정
만리포 사랑 - 현숙
매화타령 - 이효정
먼데서 오신 손님 - 하춘화
모녀기타 - 니은
모녀기타 -우 연이
모정의 세월 - 서지오
모정의 세월 - 최유나
목로주점 - 장윤정
목포는 항구다 -조미미
목포의 눈물 -주현미
무인도 - 김상월
무작정 좋았어요 -현미
물동이춤과목동과처녀/김영옥
물레야 - 문연주
물레야 - 원미
물레야 - 임현정
물방아 도는 내력 -문연주
물새우는 강 언덕 - 서지오
미사의 노래 - 안다미
미사의 종 - 임수정
바다가 육지라면 - 김부자
바다가 육지라면 - 염수연
뱃노래 -양 금석
보고싶은얼굴- 현미.정훈희
보고있어도보고싶은그대/권윤경
보리밭 -문정선
보슬비 오는 거리 -문주란
보슬비 오는 거리 -성재희
보슬비 오는 거리 -한혜진
봄날은 간다 -윤승희
봄맞이 - 오은정
부초같은 인생 -김 용임
불효자는 웁니다 - 김혜연
비내리는 고모령 - 금잔디
비내리는 고모령 - 장윤정
비에 젖은 비둘기 - 이승연
비오는 양산도 - 남미랑
사랑 - 김연숙
사랑 - 장은숙
사랑밖엔 난 몰라 - 문희옥
사랑사랑누가말했나/남궁옥분
사랑아 내 사랑아 - 염수연
사랑은기차를타고/나비소녀
사랑은연필로쓰세요/한혜진
사랑의 교실 - 유가을
사랑의 미로 - 최진희
사랑의 밧데리 - 홍진영
사랑의 송가 -이영화
사랑의 송가 - 최진희
사랑의 자리 - 염수연
산 너머 남촌에는 - 김단아
살아 있는 가로수 -남미랑
살아있는 가로수 - 이미자
살짜기옵서예/김상희김하정
새타령 -김세레나
샌프란 시스코 - 안다미
서귀포를 아시나요 - 명희
서산 갯마을 - 김부자
서산 갯마을 - 최영화
서울대전대구부산 -김혜연
서울 탱고 - 서지오
석류의 계절 - 이자연
선생님 - 최유나
섬마을 선생님 - 김희진
섬마을 선생님 - 이미자
섬마을 선생님 - 장윤정
소양강 처녀 - 김민정
소양강 처녀 - 김태희
수은등 - 장윤정
숲 속의 하루 -조애희
슬픈 인연 - 노경희
신고산 타령 - 송소희
신 천안 삼거리 -김세레나
실비 오는 소리에 -이영화
십오야 밝은 달 - 윙크
아내의 노래 - 김미진
아리랑 낭랑 - 유지나
아리랑 맘보 - 김단아
아리랑 목동 - 가야랑
아리랑 목동 - 오로라
아리랑 쓰리랑 - 김단아
아버지 -유미리
아주까리 등불 -이수진
안개 - 정훈희
안개속에가버린사람-안다미
안개낀 고속도로 - 서지오
알뜰한 당신 -정훈희
애수의 소야곡 - 김양
애수의 소야곡 - 정수빈
애야 시집 가거라 -윤승희
애인 -견 미리
애정이꽃피던시절 -김미진
앵두나무 처녀 -조이
약산 진달래 - 정수빈
야생마 -김하정
여로 - 이미자
여백신사동그 사람 - 주현미
여옥의 노래 -왕소연
여자의 일생 -이효정
연락선은 떠난다 - 문연주
연안부두 - 김혜연
연인들의 이야기 - 임수정
열아홉 순정 - 문희옥
열아홉 순정-안다미
영산강 처녀 - 송춘희
영암 아리랑 -하춘화
영원한 나의 사랑 -김희진
오동동 타령 -김상희
오동동 타령 - 오로라
오빠는 잘 있단다 - 현숙
올가을엔사랑할거야-반가희
왜 그런지 -성재희
우정 -이숙
울고 넘는 박달재 - 김용임
울고 넘는 벅달재 - 하춘화
울릉도 트위스트 -김연자
울산 아리랑 -오은정
울산 큰애가 -김 상희
울어라 열풍아 - 금잔디
울어라 열풍아 - 문채령
울어라 열풍아 - 김연자
울어라 열풍아 - 주현미
울어라키타줄-금방울 자매
웃는얼굴다정해도 - 김혜연
워싱턴 광장 - 오로라
이거리를생각하세요-장은아
인생 - 류계영
인생유정 -주현미
일자상서 -김부자
일자상서 - 정수빈
일편단심 - 금잔디
잊어버린 꿈 - 한혜진
잡지마 - 문연주
장록수 - 전미경
짝사랑 -조미미
짝사랑 -양양
짠짜라 - 장윤정
저강은 알고 있다 -오은주
저강은 알고 있다 - 이혜리
저꽃속에찬란한불빛/권성희
전우가남긴한마디 -이고은
전우가남긴한마디 - 허성희
정말로 -현숙
정정정 - 한영주
제비처럼 - 윤승희
좋아서 만났지요 - 정훈희
즐거운 아리랑 -김상희
직녀성 -안다미
진주조개 잡이 - 하춘화
짚세기신고왔네 -김세레나
찔레꽃 - 강민주
찔레꽃 - 김용임
찔레꽃 - 문연주
찔레꽃(동명이곡) - 임수정
찔레꽃 - 임현정
찔레꽃 -차영주
찬비 - 윤정하
찰랑 찰랑 -이자연
창 밖의 여자 -장은숙
창부타령 - 강효주
창부타령 -양 금석
처녀농군 - 이효정
처녀농군 - 정수빈
처녀농군 - 현자
처녀 뱃사공 - 배소연
첫눈 내린 거리 - 이혜미
첫사랑 - 장윤정
첫사랑의 화원 - 장윤정
청춘 고백 -심수봉
청춘의 꿈 - 금방울 자매
초가삼간 - 유지나
초가삼간처녀농군 - 최정자
초연 -김연숙
초혼 - 장윤정
추억의 소야곡 - 정정아
칠갑산 -장미화
칠갑산 -유지나
커피 한잔 -박 윤경.서지오
커피 한잔 - 윙크
코스모스 탄식 -정정아
태평가 - 송소희
태평가 - 양금석
파도 - 김란영
팔베개 -김상희
풍년가 -송소희
하룻밤 풋사랑 - 정정아
하와이 연정 - 최유나
한강 - 유지나
한오백년 - 김양
한오백년 - 김용임
한 오백년 -유지나
항구 - 정재은
해바라기 꽃 - 전미경
해조곡 - 김용임
행복한 일요일 - 현숙
향기품은 군사 우편 - 윙크
호반의 벤치 -장은숙
홍콩 아가씨 -금사향
홍콩의 아가씨 - 배소연
화진포에서맺은사랑/금잔디현자
황성 옛터 -김세화
황성옛터 - 유지나
황포돋대 - 오은정
휘파람을 부세요 - 정미조
흙에 살리라 - 김용임
희망가 - 최유나
(옮겨온 글)